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한 식당에 올려진 팁박스.. 국내에서는 과연?

온라인 상에 올라온 팀박스 사진 한장이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예전에도 한번 이런 케이스가 있었던 것 같은데.

우리나라에서는 저런 팁 문화가 정착되지 못할 것 같은데..

왜 저런식으로 유도를 하는건지 모르겠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에서의 팁박스 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의 팁 박스는 식당에서 직원에게

    시급을 제대로 주지 않고 팁으로 대체하는 것이기에

    우리나라와 상황이 달라서

    한국에서는 팁박스 문화가 자리 잡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팁박스 하나에 이렇게 말이 많아지는 걸 보면, 우리나라에선 여전히 팁 문화가 익숙하지 않다는 게 느껴집니다. 식당에서 팁을 요구하는 건 법적으로 금지된 건 아니지만, 통상적인 서비스 가격 안에 모든 비용이 포함된다는 인식이 강해서 손님 입장에서는 조금 당황스럽거나 불쾌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도 계산대 옆에 슬쩍 팁박스를 둔 사례가 있었는데, 그때도 논란이 있었던 걸 보면 아직은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지기엔 이른 것 같습니다. 자발적인 감사 표시로 받아들이면 괜찮지만, 암묵적으로 요구하는 분위기가 된다면 오히려 반감을 살 수 있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팁문화가 발달된곳은 미국시장이며 일부 북미시장뿐입니다 이미 팁문화의 본고장이었던 유럽도 이미 사실상 사라지고 있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미 미국내에서도 매우 거부감이 심한게 팁문화이며 이미 다른 선진국내에서도 팁문화는 보편적인 구조가 아닙니다 그렇다고 팁을 주는게 불법도 아니며 강제적으로 요구하는게 이상 법으로 문제가 되는게 아니니 특정 음식점에서 요구한다고 해서 문제가 될 사항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그렇다고 저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제도가 아니므로 크게 걱정될 사항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는 문화적으로 팁이라는 것은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이런 팁은 외국의 문화로 한국에서는 이런 부분이 강요되면 거부감이 상당히 클 수 있습니다.

    아마 이 부분은 한국손님보다 해외 관광객을 상대로 하거나 어려운 장사때문에 추가적인 수익을 위함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식품위생벗상 음식점은 메뉴판에 부가가치세와 봉사료를 모두 포함한 최종 가격을 명확히 표시해야 합니다. 즉, 소비자는 이미 음식값에 서비스에 대한 대가까지 포함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별도의 팁을 요구하는 것은 이와 같은 상거래 정서에 위배된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팀 박스나 팁 요구 문구가 자발적인 감사의 표현이라기보다는 강요나 부담으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강합니다. 물가가 가뜩이나 높은 상황에서 추가적인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큽니다. 또한, 팁 문화가 정착되면 결국 전체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 팁박스를 올린 식당의 사장님이 해외 생활을 오래 하셨거나 해외 문화를 따라한 것일수도 있습니다. 물론 한국에서는 아직 팁에 대한 정서적 반간이 있기 때문에 좋은 마케팅 전략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팁 문화가 널리 정착되지 않은 상황이고, 서비스 요금에 포함이 되는 경우가 많아 적응이 쉽게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외국인 관광객 증가와 글로벌 문화 영향으로 일부 업체에서는 팁 문화가 도입 중이기도 하나, 정착까지는 문화적 저항과 인식 변화 시간이 많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팁박스는 식당이나 카페에 자발적인 감사표시로 팁을 넣은 상자입니다. 한국은 서비스요금이 가격에 포함된 노팁 문화가 기본이기 때문에 팁박스 문화가 정착되기 어렵다고 봅니다.

  • 아직 우리나라의 정서에는 팁 문화가 어울리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팁문화가 있었던 국가에서도 요즘에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아져 향후 점점 사라지는 문화가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팁박스를 유도하는 일부 식당과 카페는 그래서 논란이 되고 비판을 받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팁문화가 필요 없는 이유가 종업원의 급여가 팁이 필요하지 않을만큼 충분히 반영되어 있고, 서비스 비용 역시 이미 음식이나 음료 값에 포함되어 있다고 간주하기 때문에 해당 문화는 우리나라에 적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