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전기가 보급된 년도는 언제 인가요?
제가 어릴때만해도 마을에 전기가 들어 오는 집이 별로 없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제가 나이가 50이조금 넘었는데요. 시골에서 살다 보니 전기의 보급이 많이 늦었졌습니다. 그래서 저희 집도 전기가 들어 오긴 했는데 자주 전기가 나가서 밤이 되면 촛불을 켜고 저녁을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은 전기가 나가는게 드문데요. 우리 나라에
전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된 년도는 언제 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전기가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반으로, 1920년대에 경성(현재의 서울)과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전차 운행과 가로등 설치가 이루어지며 전기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었습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전기가 보급된 것은 1970년대 이후 정부 주도로 전력 시설이 확충되면서 가능합니다. 특히 농촌 지역은 새마을 운동 등을 통해 전기가 보급되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전기가 자주 나가는 일은 지금보다 훨씬 더 흔했던 시기였지만, 전력 인프라가 발전하면서 이런 일이 점차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전기 보급이 본격화된 시기는 1970년대부터입니다. 이 시기에 경제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농어촌 전기 보급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전기는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하지만 도시와 농촌 간 보급 속도의 차이로 인해 시골 지역, 특히 외곽 지역에서는 전기 보급이 다소 늦어졌던 곳도 많았습니다. 또 초기에는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 정전이 빈번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질문자분이 말씀하신 촛불로 저녁을 먹던 경험은 아마도 이러한 전력 공급 초기의 이슈들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은 전력 인프라가 많이 개선되어 정전이 드문 경우가 되었죠.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1887년 3월 6일 저녁 우리나라에 역사적인 일이 생기죠. 바로 경복궁 내 건청궁에 전등불이 밝혀졌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활용입니다.
1898년 고종황제가 이근배, 김두승 이 두 사람의 이름으로 한성전기회사를 설립하게 되죠. 최초의 전력생산기업이죠.
감사합니다.
한국에서 전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1961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시작되면서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전력 수요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1960년대 초반만 해도 전국 전력보급률이 10% 수준에 불과했지만, 정부의 전력산업 육성정책에 힘입어 발전소 건설이 활발히 이뤄졌습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포항, 여수 등 주요 공업도시에 화력발전소가 건설되고 원자력발전소도 가동을 시작하면서 전력 공급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1979년에는 전국 전력보급률이 97%를 넘어서게 되었지니 1960~70년대가 한국의 전기 보급이 본격화된 시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
우리나라 도시에 전기가 들어오기 시작한것은 1960년대부터 입니다.
대중적으로 도시에 전기가 보급된것은 1980년대이지요
시골지역도 1970년도부터 전기시설이 도입되었지만
여전히부족했어요
1980년대가 되어서야
시골에도 전기가 보편작으로 들어왔어요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우리 나라는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전기가 공급되었고 1970년대 이후에는 전기 보급률이 90% 이상으로 되면서 거의 모든 국민이 전기의 혜택을 보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