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리듬이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건지 아니면 속설인지 궁금합니다.
바이오리듬이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건지 아니면 속설인지 궁금합니다.
정말 바이오리듬이 실제 적용이 되는 건지 아닌지 궁금하고 맞을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 어떻게 나타나게 도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오리듬은 인체의 생체적인 변화에 대한 주기적인 패턴을 의미하며, 인간의 생리적, 심리적, 지각적 기능의 주기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바이오리듬의 존재를 증명하는 연구 결과는 불분명합니다. 몇몇 연구에서는 바이오리듬이 일부 측면에서 증명되었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이러한 결과는 다른 연구에서도 재현되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오 리듬이 일정한 규칙과 패턴을 띠는 것은 맞지만, 모든 경우에 100%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사람마다 편차가 큰 부분이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증명이 100% 된 사항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오리듬은 과학적으로 증명된 건입니다. 그리고 통계적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에 적용되기때문에 정확한 확률은 언급하기 어렵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오리듬은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있지않고, 그 리듬을보며 심리적으로 끼워맞추거나 실제 믿음으로써 신체가 반응하는 플라시보 효과를 노린 비과학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오리듬의 원리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제기되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몇 가지 이론은 유전적, 호르몬적, 신경적인 요인들이 바이오리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도 아직 완전히 확인되지는 않았습니다.
따라서, 바이오리듬에 대한 학술적인 공동의견은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보다는 "아직 논란 중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오리듬은 20세기 초에 독일 의사인 허트외이슬러(Hermann Swoboda)과 프랑스 생리학자인 베르나르드로(Alfred J. Bernard) 등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그 후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바이오리듬의 존재와 그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증명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것도 유사과학이라고 볼수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