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정보가 생물학에서 쓰이는가요?
생체정보가 생체에서 나오는 정보를 말하는거 같은데 생물학에서 쓰이는건가요 디엔에이같은 유전자 정보도 생체정보인거 같아서요
생체정보는 물리학적 현상이나 화학적 현상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와 비교하면 ① 생명현상이 지니는 능동성 · 적응성 · 수복성(修復性), ② 생체현상의 비선형성(非線形性 ; 선형인 미분방정식으로는 기술할 수 없는 성질) 같은 애매모호함, ③ 생체정보가 매우 미약하다는 점 등 많은 차이점이 있다.
또 생체정보는 살아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분할이 불가능하고, 그 생체에서는 겹겹으로 겹친 피드백로〔歸還路〕와 많은 기능이 생체 내부 환경의 항상성(恒常性 ; 생체를 둘러싸고 있는 외적환경이나 생체 자체의 변화에 대해 체내의 기관이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기능) 속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정보의 분석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생체는 매우 방대한 유전정보에서 얻은 폭넓은 개체차를 가지는 외에 생육환경에 의해 얻은 생체 고유의 리듬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정보의 분석은 한층 곤란해진다.
이 밖에도 인간을 포함하는 고등동물은 심리량에 의한 정보의 변조도 있으므로 이것도 의학에서의 생체정보 계측에 큰 제약이 된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생체정보는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개인을 식별하고 특정 질병과 연관성을 가진 유전자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말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DNA, RNA, 단백질 등과 같은 생체 분자를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습니다.
생체정보는 유전체 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유전체 정보는 개인의 유전적 특성을 나타내며, 유전자 검사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백질 정보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질병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단백질 분석 기술을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생체정보는 의학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개인의 생체정보를 분석하면, 예방적인 진단, 개인 맞춤형 치료, 새로운 치료법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범죄 수사나 인적 자원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생체정보가 활용됩니다.
생체정보의 활용은 이에 대한 법적인 규제와 윤리적인 고민이 필요합니다. 개인 정보 보호와 같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생체정보 수집, 보관, 분석, 공유 등에는 철저한 규제와 관리 체제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