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라이언
라이언24.01.11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얼음과 물은 고체 ,액체로 현재 상태만 다른 같은 물질인데,

얼음과 물과 함께 놓으면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물의 밀도 변화 때문입니다.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부피는 10% 정도 늘어나지만 무게는 일정하기 때문에 밀도가 줄어듭니다. 따라서 물보다 밀도가 작은 얼음이 물 위에 뜨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부력은 밀도와 연관이 높습니다. 물이 얼음이 되는 과정에서 밀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바로 이러한 이유로 얼음이 물 위로 뜨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면서 밀도가 작아집니다. 따라서 얼음이 되면 물에 뜨게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얼음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낮기 때문입니다.

    물의 밀도는 섭씨 4도씨에서 약 1g/cm^3 로서 가장 높습니다.

    얼음의 밀도는 섭씨 0도에서 약 0.917g/cm^3입니다.

    얼음의 부피 대비 질량은 물의 부피 대비 질량보다 작기 때문에

    얼음은 물에 뜰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밀도 때문입니다. 얼음은 물에 비해 밀도가 작습니다. 이는 얼음 분자의 구조 때문입니다. 얼음 분자는 물 분자보다 더 큰 공간을 차지하며,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되면 더 촘촘한 구조가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과 물은 같은 물질이지만 현재 상태만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얼음은 고체 상태이고 물은 액체 상태입니다. 이 두 상태의 차이는 분자들의 움직임에 있습니다. 얼음은 분자들이 서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움직임이 제한되고 물은 분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얼음과 물을 함께 놓게 되면 얼음의 분자들은 물의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물의 분자들이 움직이는 에너지를 받아들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얼음의 분자들이 물보다 더 많이 움직이게 되고 그 결과로 얼음은 물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이게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물의 밀도가 얼음보다 더 낮기 때문입니다. 얼음은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분자들이 서로 가까이 있고 그 결과로 밀도가 높아집니다. 하지만 물은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분자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그 결과로 밀도가 낮아집니다. 그래서 얼음은 물보다 더 가벼워져서 물 위로 떠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분자들의 움직임과 밀도의 차이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집니다. 부피가 커진다는 말은 밀도가 낮아진다는 말이 되겠고, 물보다 밀도가 낮은 얼음은 물에 뜨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