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4.01.30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건 어느 부위로 하는 건가요?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공기정화도 한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식물에는 동물들처럼 겉으로 보이는 호흡기가 없는데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때와

산소를 배출할 때는 식물의 어떤 부위에서

흡수하고 배출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식물은 동물과 다르게 한 곳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스스로 양분을 합성해야 하는데요, 이때 태양의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포도당으로 합성하는 과정을 광합성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광합성을 수행하기 위해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는 식물의 잎의 뒷면에 존재하는 기공을 통해서 받아들이는데요, 기공이란 공변세포 2개로 이루어진 구멍을 말합니다. 또한 광합성의 부산물로 발생한 산소 역시 식물 잎의 기공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공기를 정화하는 것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식물은 뿌리 줄기 잎 등 여러 부위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동물들의 호흡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식물의 뿌리는 흙 속에 묻혀 있기 때문에 공기를 직접 흡입할 수 없어요. 그래서 뿌리는 물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물 속에서 흡수합니다. 이산화탄소는 뿌리의 미세한 모세관을 통해 식물의 줄기로 이동하게 되고 줄기에서는 광합성이 일어나게 됩니다. 광합성은 태양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결합하여 산소를 생산하는 과정이에요.

    그리고 식물의 잎은 광합성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잎의 엽록소는 태양의 빛을 받아들여 광합성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생산합니다.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후에는 산소를 배출하게 되는데 이는 잎의 기공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기공은 잎의 표면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와 산소가 교환되는 것이에요.

    따라서 식물은 뿌리 줄기 잎 등 여러 부위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며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식물은 우리가 숨 쉬는데 필요한 산소를 생산하고 동시에 환경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공기를 깨끗하게 만들어줍니다. 많은 사람들이 식물을 통해 우리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잊고 있지만 식물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존재라는 것을 잊지 말아주세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과정은 광합성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광합성은 식물의 잎의 엽록소를 이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와 물을 이용하여 포도당과 산소를 생산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주로 식물의 잎에서 일어나며, 엽록소가 있는 엽의 조직에서 이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식물의 잎 표면에는 '기공' 이라고 하는 눈으로 보이지 않는 수많은 구멍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이고 산소를 내보내는 호흡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과정은 주로 잎에서 일어나며, 이 과정은 광합성이라 합니다. 보통 식물의 잎 표면에 있는 기공이라는 수많은 구멍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죠.

    기공은 두 개의 공변세포에 의해 열리고 닫히며, 이 기공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드나드는 가스 교환이 이뤄집니다. 또한, 식물의 줄기에서도 기체의 출입을 관찰할 수 있는데, 줄기의 군데군데 기체가 드나들 수 있는 피목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뿌리에서도 호흡이 가능한데, 뿌리털은 한 개의 세포로 이뤄져 있으면서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합니다. 뿌리털 세포를 통해 기체의 출입도 이뤄집니다.

    따라서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곳은 잎의 기공, 줄기의 피목, 그리고 뿌리의 표피와 뿌리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은 동물처럼 뚜렷한 호흡기가 없지만 기공이라는 작은 구멍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합니다. 기공은 주로 잎 아랫면에 있으며, 두 개의 수지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은 동물과 달리

    기관으로 호흡하지 않습니다.

    식물의 호흡은 기공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기공은 식물의 잎 줄기 꽃받침 등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식물의 표면적을

    넓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때

    기공을 열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

    이산화탄소는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원료로 사용됩니다.

    광합성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식물은

    산소를 배출합니다.

    식물은 낮에는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배출하고 밤에는 호흡을 통해

    산소를 소비합니다.

    식물의 호흡량은 광합성량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에 식물은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산소를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식물의 기공은 온도 빛 수분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개폐됩니다.

    일반적으로 낮에는 기공이

    열려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밤에는 기공이 닫혀서 수분

    증발을 막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