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12.21

이순신장군이 거북선을 만든 계기는?

안녕하세요? 임진왜란에서 이순신장군의 거북선의 활약으로 일본을 무찔렀는데요, 거북선을 만든 계기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간에는 이순신이 직접 철갑선인 거북선을 개발했고 직접 탑승했을 거라는 통념이 있으나, 사실 조선 수군의 주력은 판옥선이고 이순신도 거북선을 처음 개발한 인물이 아니다. 그러나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진 거북선으로 개량한 건 이순신이다.

    고려말 조선초에는 한반도의 혼란을 틈타 왜구의 침략이 극심했으며 태조 이성계도 지리산까지 올라온 왜구와 싸워 대승을 거둔 적 있다. 세계 최초의 화포 무장 함대인 최무선의 누전선-맹선-판옥선 테크트리에서 보여지듯 조선 수군의 전선의 발전은 왜구의 계속해서 발전하는 해적선에 대항하기 위해 시대적으로 불가피했다. 이순신의 거북선 177년 전인 태종 13년에 언급된 거북선 또한 당시 만들어진 실험적인 전선이었으며, 이후 이어지지 않은 걸 보면 효용성이 떨어지는 불완전한 함선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최초로 실용적인 거북선을 개발하도록 지시하고 해전에서도 거북선을 운용한 건 이순신이다.

    기존 조선 수군의 주력함이었던 판옥선을 개량한 것으로, 지붕을 덧씌워 방어력을 높이고 포문을 많이 설치하여 사격 공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조를 변경, 앞에는 용머리 형태의 충각 겸 포문을 달아 돌격전에도 용이하게 설계되었다.

    당시 일본 수군의 전술은 배에서 직접 사격 공격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동성이 빠른 소형 배를 타고 적함에 난입하여 근접전으로 배를 뺏거나 횃불을 던져 태우는 것이었기 때문에 옻칠한 나무 지붕에 쇠못을 빼곡하게 박은 거북선에는 상륙 자체가 불가능하여 통하지 않았고, 거기다가 근접을 허용하지 않을 정도의 화력으로 적함을 격침시켰기 때문에 임진왜란 당시에는 말 그대로 해상 요새 수준의 위용을 자랑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에는 전라 좌수군 방답진에 소속된 방답 귀선, 전라 좌수영 본영에 소속된 영귀선, 통제영 창설 이후 건조된 통제영 귀선의 3척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원균의 칠천량 해전 당시 모두 침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