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12

금리인상의 현상황이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안녕하세요. 금리인상과 물가상승등 경제에 어려운부분들이 장기간 지속되는거 같은데요. 앞으로의 금리 인상 전망은 언제까지 지속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
    한울발달상담센터
    23.01.12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또한

    물가상승률이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금리인상과 같은 경우에는

    올해에는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부터는 인하되지 않을까 싶으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준으로는 1월에 기준금리 0.25% 인상해서 3.5%로 당분간 유지하다가, 물가상승의 상황을 봐서 결정할 것 같습니다. 만약에 이정도 금리 수준으로도 물가가 다시 상승하려고 하면 금리를 또 다시 인상할 가능성도 있고, 반대 상황이 발생하면 금리를 조기에 인하 할 가능성도 있따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금년 상반기까지는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될 것이 예상됩니다. 다만 기업실적 악화 및 실업률 증가 등 경기침체가 확인될 경우 금년 하반기부터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에서의 예상은 올해상반기까지는 다소 금리가 소폭 오를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후부터는 최소 내년초까지 그 수준의 금리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물론 경기침체 우려 등이 심화될 경우 좀더 빨리 금리인하가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어도 물가상승이 잡히는 것이 가시화되고 경기침체가 더 확실해질 때까지는 계속해서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올리는 폭을 줄여가긴 하겠지만 금방 인하로 돌아서기는 어렵습니다.

    인상을 멈춰도 상당기간은 동결로 가다가 침체가 더 확실해지면 그제서야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보이며

    빨라야 올해 하반기 혹은 내년 이후가 될 것입니다.

    미국 FED 역시 2가지 기준(물가, 고용)을 갖고 금리인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물가상승폭이 둔화되는 것은 보이고 있는데 고용지표가 너무 잘 나오고 있어서 FED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금리 결정 영향을 안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내부 이슈도 고민해야 해서 쉽지 않습니다.

    이번주 13일(금) 아침에 한국은행 금통위가 예정돼 있는데 얼마나 올릴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