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지수할때 지수와 지표의 차이점이 뭔가요?
주가지수할때 지수와 지표의 차이점이 뭔가요?
주가지수할때 지수와 지표의 차이점이 뭔가요?
주가지수할때 지수와 지표의 차이점이 뭔가요?
주식그림가지고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슷해 보여도 주가지수랑 지표는 쓰임이 다릅니다. 지수는 주식 시장 전체 흐름을 숫자로 표현한 거고, 지표는 시장 상황을 분석하거나 예측할 때 참고하는 수단입니다. 예를 들면 코스피나 나스닥 같은 건 지수입니다. 시장에 상장된 종목들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산출돼서, 전체 시장이 오르고 있는지 떨어지고 있는지 한눈에 보여줍니다. 반면 PER이나 PBR 같은 건 지표입니다. 특정 기업이나 업종이 고평가됐는지 저평가됐는지를 파악할 때 참고하는 계산 도구에 가깝습니다. 제 기준에서는 지수는 결과값이고, 지표는 분석을 위한 도구처럼 쓰입니다. 그래서 투자를 판단할 때는 지수만 보는 것보다 지표들을 같이 봐야 더 입체적인 해석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수는 물가나 임금 따위와 같이, 해마다 변화하는 사항을 알기 쉽도록 보이기 위해 어느 해의 수량을 기준으로 잡아 100으로 하고, 그것에 대한 다른 해의 수량을 비율로 나타낸 수치입니다. 그런데 지표는 방향이나 목적, 기준 따위를 나타내는 표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수는 여러 종목을 묶어 시장 전체의 어떤 평균적인 모습을 수치화한 것으로 코스피, 코스닥 등 지수를 말합니다.
반면 지표라는 것은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이런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수단인데요. PER, RSI, PBR, 거래량, 금리 등 필요에 의해 분석된 수단입니다.
지수와 지표는 서로 다른 의미와 역할을 가집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지수와 지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표와 지수는 모두 숫자를 이용해서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지표는 특정 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수단이고
지수는 여러 대상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보여주는 수단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