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치경부 마모로 인해 레진으로 떼우는 치료를 말씀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치경부(치아의 잇몸과 닿는 부위)는 법랑질(치아의 가장 바깥층, 가장 단단한 조직)이 가장 얇은 부위입니다.
단순히 씹는 작용을 통해서도 해당 부위가 조금씩 깨져나갈 수 있습니다.
씹는 힘에 의해 치아의 휨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치아 목 부위인 치경부가 조금씩 깨져나갈 수 있습니다. 이 때 칫솔질을 좌우로 하거나 세게 하는 경우,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경우 등에서 치아의 마모가 촉진되어 치경부 마모가 발생하게 됩니다.
치아의 가장 단단한 부분인 법랑질이 깨져나가게 되어 그 다음 층인 상아질이 노출되면서 치아에 시린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상아질은 법랑질에 비해 덜 단단하기 때문에, 마모가 용이하여 더욱 빠르게 마모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치경부마모의 치료는 이를 예방하기 위한 관점에서 접근하며, 해당 부위를 레진 등으로 떼워줌으로써 시린 증상을 완화시키고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해당 부위는 패인 부위로 음식이 저류되기 용이하므로 충치가 생기기 쉽게 되고, 이 경우에는 오히려 신경치료까지 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즉, 치료 관점에서는 시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치료를 하는 것이고, 예방 관점에서 본다면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치료를 하게 됩니다.
때문에 해당 부위의 치료가 필수인 것은 아니지만 치료를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해당 부위를 치료하는 재료는 크게 레진과 GI라는 재료가 있으며, 해당 부위를 금으로 치료하지는 않습니다(오래 전에는 금이나 아말감 등의 재료로 치료하는 경우도 있었기는 합니다).
레진은 보험적용이 되지 않는 재료로 상대적으로 비싸지만 GI에 비해 치아에 대한 접착력과 강도가 우수하고 색 또한 치아색과 더 유사하므로 심미적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GI라는 재료는 보험적용이 되는 재료로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레진에 비해 치아에 대한 접착력이 약해 잘 떨어질 수 있고 떼워야 하는 크기가 커질 수록 떨어질 가능성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강도도 약하여 칫솔질에 의해서도 쉽게 마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색도 하얀색이기는 하지만 레진과 달리 치아색에 가까운 하얀색이라기 보다는 분필색에 가까운 하얀색이기에 상대적으로 심미성이 떨어집니다.
반면 지속적으로 불소를 방출하여 추가적인 충치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저렴한 비용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마다 환자의 거부감이 크지 않게 재치료하기 용이한 점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