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되알진치와와155
되알진치와와15524.01.21

끓는점이 100도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우리는 물을 끓일때 100도가 되면 끓는다고 말하는데

물의 끓는점이 왜 100도인건지가 궁금해요

물이 끓는 온도를 100도라고 정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끓는 온도가 100도인 이유는 물의 끓는점이 고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해수면에서 물이 끓는 온도는 100도이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물이 끓는 온도는 낮아집니다. 이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물이 끓는 온도를 100도로 정한 것은 섭씨 온도 체계에서의 기준점을 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섭씨 온도 체계는 물의 끓는점을 100도 얼음의 녹는점을 0도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물의 끓는 온도와 얼음의 녹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끓는점이 100도인 것은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기준이지만, 이는 압력이 1기압일 때의 값입니다. 물의 끓는 온도는 압력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물이 끓는 온도를 100도로 정한 것은 18세기에 스웨덴의 과학자 안데르스 셀시우스가 섭씨 온도 체계를 만들면서 정했습니다. 셀시우스는 물의 끓는 온도를 0과 100 사이의 100도로 설정하였고, 얼음의 녹는 온도를 0도로 설정했습니다. 이후 이 체계가 널리 사용되면서 물의 끓는 온도가 100도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어떤 특정한 압력에서의 물의 끓는 온도일 뿐, 압력이 다른 상황에서는 끓는 온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지대에서의 기압이 낮은 경우 물의 끓는 온도는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처음 온도의 기준을 정할때 물이어는 온도를 0도 물이 끓는온도를 100도로 표준값으로 잡고 온도를 정한겁니다 그래서 물이 끓는 온도가 100도가 된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끓는점이 100도인 이유는 물 분자 사이의 수소결합 때문입니다.

    수소결합은 물 분자 사이의 전기적 인력으로, 물 분자를 서로 강하게 붙잡아 둡니다.


    물 분자가 끓기 위해서는 이 수소결합을 끊어야 합니다.


    물의 끓는점은 수소결합의 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수소결합이 강할수록 물의 끓는점은 높아집니다.


    물은 다른 물질에 비해 수소결합이 강하기 때문에, 끓는점이 높은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큰 물질은 수소결합이 강하기 때문에 끓는점이 높습니다.


    물은 분자량이 작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끓는점이 높은 이유는 수소결합이 매우 강하기 때문입니다.



    물의 끓는점은 기압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압이 낮을수록 물의 끓는점은 낮아집니다.


    기압이 낮을수록 수증기가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물의 끓는점은 1기압에서의 끓는점을 의미합니다.


    1기압은 지구 표면에서 공기가 지면에 미치는 압력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느끼는 압력과 같습니다.



    산 위에서는 기압이 낮기 때문에, 물의 끓는점도 낮아집니다.


    산에서 라면을 끓이면, 평지에서 끓이는 것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