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8.25

태조라는 용어의 뜻이 궁금합니다.

tv에서 방영하는 대하 드라마 사극을 보다가 궁금증이 생겼는데요 태조 이성계 태조 이방원 이런 식으로 이름 앞에 태조 자가 붙는데 태조는 어떤 뜻을 가지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자권 국가에서는 왕의 사후에 묘호를 붙이는데

    대부분 창업군주에게는 태조라는 묘호를 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금을 부르는 호칭은 군호와 묘호로 나뉘어 집니다. 군호는 왕의 아들일때 주어진 이름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광해군, 연산군 등이 있습니다. 묘호는 죽은 뒤에 붙여지는 이름인데요 후대가 왕으로 인정을 하게되면 묘호를 붙여 주게 됩니다. 태조가 바로 묘호 로 붙여진 이름 입니다. 태조를 붙인 왕은 상당히 많은데요 클태, 세울 태 자로 보통 나라를 세운 개국 군주나 개국군주 이전 터를 잡은 왕에게 주로 붙여지는 묘호 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조라는 호칭은 나라를 건국한 왕에게 부여하는 호칭이며 묘호입니다. 조선의 1대 임금인 이성계의 태조 묘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조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묘호(廟號)에 대하여 알아야 합니다.

    묘호란 임금이 죽은 이후에 태묘나 종묘에 제사지내기 위하여 지어진 호칭이죠.

    조선의 1대 임금인 이성계의 태조란 이 묘호입니다. 또한 시호가 있는데, 태조 이성계의 경우, 강헌지인계운성문신신무대왕이 이 시호죠. 이 시호의 가장 먼저 오는 강헌은 중국 명나라가 내린 시호로 조선은 중국의 신하국을 자처했으므로 이 시호가 가장 먼저오는 것이죠.

    시호는 국가나 정부가 업적을 이룬 이들에게 내리는 칭호입니다. 즉 이순신 장군이 받은 시호는 충무공이었죠.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묘호란 중국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마천의 사기 효문본기에 따르면 창업의 공이 있는 임금은 ~조로 덕망으로 나라를 다스린 임금은 ~종으로 부른다고 나와 있습니다.

    즉, 태조란 나라를 일으킨 왕에게 돌아가는 묘호였죠. 그리고 세조란 묘호는 나라를 다시 일으켜 중흥한 임금에게 돌아가는 묘호였습니다. 그리고 세종과 고종등은 문예를 일으키고, 국가를 강건히 만든 임금에게 돌아가는 묘호였죠.

    이러한 묘호의 관습은 중국에서는 한나라때부터 시작되고 있죠. 우리나라의 경우, 고구려의 태조왕이 있는데, 고구려의 시작이 태조왕부터 시작됐다는 이들의 증거가 되고 있죠. 고구려는 중국과 연결되어 있어 중국의 풍습을 일찍이 받아들인 결과라고 보고 있습니다.

    신라의 경우, 태종무열왕부터 중국식의 시호와 묘호를 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신라가 드디어 중국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사회적 발전을 이뤘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여기에서 질문자 분의 질문에 대한 해답이 나올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묘호를 최초로 사용한 인물이 고구려의 태조왕이란 것을 알 수 있죠. 그러므로 그 이전의 인물인 동명성왕 주몽이나 온조대왕, 박혁거세같은 인물은 그 묘호를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태조라고 부를 수 없는 것이죠.

    tip) 한가지 팁을 더 주자면 주몽대왕의 동명성왕이라는 시호를 준 인물은 신라의 문무왕입니다.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고구려 유민을 받아들였던 신라의 문무왕은 고구려의 망명 왕족, 안승에게 주몽대왕의 제사를 맡겼죠. 이 때 내린 시호가 동명성왕이었습니다.

    어떤 이들은 고구려의 왕들이나 백제의 왕들에게도 시호나 묘호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죠. 바로 광개토대왕비나 중원고구려비가 그 증거가 되고 있는데, 광개토대왕의 시호가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이며 연호가 영락을 썼다는 것과 그의 아들, 장수왕 또한 연호를 쓴 흔적이 보이는 것을 보면 그렇다는 것인데, 지금은 그것을 추측만 할 뿐 감히 알 수가 없습니다.

    출처:네이버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는 창업군주에게 붙여지는 것으로 고려 태조왕건 조선 태조이성계와 같습니다. 그런데 조선에는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등 여섯명의 왕에게 조를 붙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헷갈릴 수 있는데 전란으로부터 백성을 구했거나(선조 인조) 왕권을 지켰거나(세조) 탕평책(영조) 고종에 의한 추존(정조 순조) 등이 있습니다. 종은 정통적으로 왕위를 계승한 경우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조는 동아시아의 역대 왕조들에서 사용된 군주에게 올리는 묘호 중 하나입니다.

    묘호 중 최고의 묘호로 대개 한 국가를 창건한 창업군주나 실질적으로 왕조의 기틀을 마련한 추존 군주의 경우 이 묘호를 받게 되는데 즉 왕조국가판 국부라고 보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조(太祖) 라는 말은 클태, 조상조 라는 한자로 나라를 처음 만든 사람을 태조 라고 합니다.고려의 태조 왕건, 조선의 태조 이성계 라고 합니다. 이방원은 태조가 아니라 태종입니다. 보통 "조" 라는 칭호는 한 나라에 시조나 혹은 그에 버금 가는 위대한 업적을 이룬 왕에게 후대에 붙여주는 이름이고 " 종" 은 그냥 일반 왕을 말하는 시호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조(太祖)는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서, 보통 나라를 세운 개국

    군주나 개국 군주 이전 터전을 잡은

    조상에게 붙히는 묘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조"는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호나 별칭으로, 그 뜻은 "시초" 또는 "기원"을 나타냅니다. 역사적으로는 주로 나라나 왕조의 창시자나 최초의 지도자에게 사용되며, 해당 개념을 강조하고 존경을 표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의 창시자인 이성계는 "태조"라는 호를 받았습니다. 이것은 조선 왕조의 시초를 나타내며, 조선 왕조의 근간을 마련한 사람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나타냈습니다. 이와 같이 "태조"는 창시자나 설립자의 역할과 기원을 강조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특별한 호나 별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