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방구석 전문가
방구석 전문가24.01.10

여름과 겨울 온도가 다른 이유가 뭔가요?

여름에는 구름이 많고 겨울은 구름이 없는데 왜 겨울이 더 추운건가요 구름이 해빛을 많이 가리는데 온도가 더 낮아야 하는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하지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태양의 각도입니다. 여름에는 태양이 지평선 위에 높게 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태양 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죠. 반면 겨울에는 태양이 지평선 아래에 떠 있기 때문에 태양 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하는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구름이 해빛을 가리는 것은 맞지만 구름은 태양 에너지를 지구로 반사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여름에는 구름이 많이 있어서 태양 에너지를 지구로 반사시키는 양이 적어지지만 겨울에는 구름이 적어져 태양 에너지를 지구로 반사시키는 양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구름의 양이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는 지구의 자전축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는 자전축의 기울기 때문에 태양의 각도가 계절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태양의 각도가 달라지면서 발생하는 온도 차이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는 지구의 대기층의 영향도 받습니다. 여름에는 대기층이 더 두껍기 때문에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 양이 많아지고 겨울에는 대기층이 얇아져서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는 태양의 각도 구름의 양 지구의 자전축 그리고 대기층의 영향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이며 이를 모두 고려해야만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정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태양을 기준으로 공전을 하고 있죠? 하지만 공전을 할 때 완전한 구형의 형태로 공전하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의 형태라고 보시면 돼요.

    즉, 여름에는 태양과 거리가 더 가까운 거리에서 지나가게 되고, 겨울에는 태양과 더 먼 거리에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죠. 이로 인해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는 태양의 광선이 지표에 수직으로 닿아 에너지가 집중되어 지면의 온도가 높아지고, 낮이 길어져 지면이 충분히 더워질 수 있습니다. 반면, 겨울에는 태양의 광선이 지표에 낮은 각도로 닿아 에너지가 퍼져 지면의 온도가 낮아지고, 낮이 짧아져 지면이 충분히 따뜻해지지 못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별 기온차가 나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23.4도 기울어져 자전을 하기 떄문입니다.

    여름에는 해가 높이 뜨서 지표면이 받는 복사열이 더 많기 때문에 기온이 높고

    겨울에는 해가 낮게 떠서 옆으로 비추기 때문에 반사되는 태양의 에너지가 더 많아 기온이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철에는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으로부터 멀어지고, 그 결과로 태양에서 오는 복사 에너지가 지구의 표면에 도달하는 각도와 양이 크게 변합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표면은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어 온도가 높아져 여름이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겨울철에는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으로부터 가까워지고, 태양에서 오는 복사 에너지가 지구의 표면에 도달하는 각도와 양이 줄어듭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표면은 더 적은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어 온도가 낮아져 겨울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