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과 겨울 온도가 다른 이유가 뭔가요?
여름에는 구름이 많고 겨울은 구름이 없는데 왜 겨울이 더 추운건가요 구름이 해빛을 많이 가리는데 온도가 더 낮아야 하는거 아닌가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하지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태양의 각도입니다. 여름에는 태양이 지평선 위에 높게 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태양 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죠. 반면 겨울에는 태양이 지평선 아래에 떠 있기 때문에 태양 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하는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 구름이 해빛을 가리는 것은 맞지만 구름은 태양 에너지를 지구로 반사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여름에는 구름이 많이 있어서 태양 에너지를 지구로 반사시키는 양이 적어지지만 겨울에는 구름이 적어져 태양 에너지를 지구로 반사시키는 양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구름의 양이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 그리고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는 지구의 자전축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는 자전축의 기울기 때문에 태양의 각도가 계절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태양의 각도가 달라지면서 발생하는 온도 차이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는 지구의 대기층의 영향도 받습니다. 여름에는 대기층이 더 두껍기 때문에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 양이 많아지고 겨울에는 대기층이 얇아져서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 따라서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는 태양의 각도 구름의 양 지구의 자전축 그리고 대기층의 영향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이며 이를 모두 고려해야만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정 과학전문가입니다. - 지구는 태양을 기준으로 공전을 하고 있죠? 하지만 공전을 할 때 완전한 구형의 형태로 공전하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의 형태라고 보시면 돼요. - 즉, 여름에는 태양과 거리가 더 가까운 거리에서 지나가게 되고, 겨울에는 태양과 더 먼 거리에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죠. 이로 인해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여름에는 태양의 광선이 지표에 수직으로 닿아 에너지가 집중되어 지면의 온도가 높아지고, 낮이 길어져 지면이 충분히 더워질 수 있습니다. 반면, 겨울에는 태양의 광선이 지표에 낮은 각도로 닿아 에너지가 퍼져 지면의 온도가 낮아지고, 낮이 짧아져 지면이 충분히 따뜻해지지 못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 계절별 기온차가 나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23.4도 기울어져 자전을 하기 떄문입니다. - 여름에는 해가 높이 뜨서 지표면이 받는 복사열이 더 많기 때문에 기온이 높고 - 겨울에는 해가 낮게 떠서 옆으로 비추기 때문에 반사되는 태양의 에너지가 더 많아 기온이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 여름철에는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으로부터 멀어지고, 그 결과로 태양에서 오는 복사 에너지가 지구의 표면에 도달하는 각도와 양이 크게 변합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표면은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어 온도가 높아져 여름이 되는 것입니다. - 반면에, 겨울철에는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으로부터 가까워지고, 태양에서 오는 복사 에너지가 지구의 표면에 도달하는 각도와 양이 줄어듭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표면은 더 적은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어 온도가 낮아져 겨울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