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모달 HS코드 자동분류 적용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AI기반의 이미지와 텍스트 융합 방식의 기능이 수입물품의 HS코드 분류에 대한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HS CODE를 결정하는 품목분류가 실무적으로 쉽지 않은 부분인데 말씀하신대로 이미지와 텍스트를 가지고 기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여 높은 확률로 제시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아무래도 품명만 가지고 학습하는데는 분류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보니 사진이나 이미지가 함께 제시된다면 확률을 높일수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멀티모달 기술이 HS코드 분류에 쓰일 수 있느냐는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실제로 사진만 보고 분류하는 건 한계가 큽니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 사진을 보면 외관은 같아도 내부 부품 차이로 HS코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지와 상품 설명을 동시에 학습하는 방식이라면 보완이 됩니다. 다만 관세 행정에서는 여전히 법령상 기준과 세부 성분 확인이 우선이기 때문에 AI가 단독으로 확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실무에서는 멀티모달 모델을 보조 수단으로 활용해 오류 가능성을 줄이고 분류 속도를 높이는 방향이 적합하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충분히 가능할듯 합니다. 다만 사진및 품명만으로는 분류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기에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는 미리 화주가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보완을 하면 더 정확한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분석하는 멀티모달 AI 기술은 HS코드 자동분류에 상당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서류상의 제품 설명만으로 분류하다 보니 애매한 경우가 많았는데, 사진 데이터까지 함께 학습하면 품목의 외형적 특징과 문구를 결합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세관에서 요구하는 세부 규정이나 재질, 용도 같은 정보는 단순 이미지로는 한계가 있어 보조 도구로 쓰이는 단계가 먼저 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