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겨울조아
겨울조아23.12.29

겨울철 차량 시동이후 출발시간은 몇 분?

요즘은 차들이 기술력이 좋아져서 예전차량처럼 겨울철에 예열이후 출발을 안해도 된다고 하던더 사실인가요?

만약에 사실이 아니라면 어떻게 예열하고 몇 분이후 출발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초록 지빠귀192입니다. 예전처럼 오래하실 필요는 없지만 조금은 예열을 하는게 좋습니다. 가솔린의 경우 1분내외, 디젤의 경우 3분정도 예열하세요.


  • 안녕하세요. 넷아빠입니다.

    저는 디젤차량을 끌고 있는데요.

    휘발유차도 있어요. 경차이거든요.

    시동걸고 1분이상 예열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추워도 1분내로 예열 끝내고 rpm바늘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출발합니다.

    물론 추워서 히터를 틀어도 찬바람이 나오겠지만, 엔진은 충분히 오일이 구석구석 윤활작용을 할 수 있게 준비 되었기 때문에 출발해도 되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붉은숲제비9입니다. 2000년 이전에 생산된 차량의 경우에는 기계식장치들이어서 5분이상 10분이내로 대기하는걸로 알고 있고 그 이후의 차량의 경우는 전자식장치들로 바뀌어서 30초이상 3분이내 정도면 적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얌전한원앙8입니다.

    겨울철에는 1~2분 정도 예열한 후에 주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3분 이상 예열하는 것은 대기를 오염시키고 연료를 낭비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속한까마귀285입니다.

    겨울철 배터리 방전이 안될려면 시동후5분에서 10분

    정도후에 주행 하시면 될거에요.


  • 안녕하세요. 신통한다슬기2입니다.

    엔진 예열이 아무 의미 없는 것은 아닙니다.

    기계는 결국 금속부속의 결합이기 때문에 온도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을 하게 됩니다. 예열은 엔진 출력을 상승시키기 전 이러한 열차이에 의한 재질적인 부담과 연소실 내 낮은 온도로 인한 연소 및 윤활 부담을 줄여줄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느 정도 시간 보다는 엔진 재질이 전체적으로 연속 부하 시 온도만큼 올라갈 때까지 예열이 되면 좋습니다.

    그래서 예열은 날씨(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일정한 시간을 정하셔도 무방할 듯 합니다.

    다만 급출발과 같은 예열전 급격한 로드업을 피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30초 정도 시동 예열하고 초반 1분 정도는 저속으로 움직이는 정도면 충분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