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미국연준에서 금리를 동결한 이유에 특별한 사유라도 있는건가요?
오늘 새벽에 미국연준에서 금리를 동결했다는 뉴스가 전해졌는데요
그런데 원래는 인하쪽으로 계속 나오다가 동결한 이유는 무엇인지
알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FOMC는 오늘 04시에 이루어진 회의에서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는 우려로
금리 인상을 미루고 동결을 발표 하였습니다.
또한 현재 미국 시장은 실업률이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급하게 금리를 낮추면 고용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 했습니다.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1명 평가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연준이 그동안 금리를 인하해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이번에는 금리를 인하하지 않은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동결의 사유는 특별히 없습니다. 다만 지금 현재의 금리로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알맞다고 생각하여 특별한 안내나 설명 발표없이 금리 동결한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024년하반기 부터 기준 금리를 인하했던 연준의 주된 이유는 일자리 시장 좋지 않다는 것에 대한 대응이었습니다.
다만 12월 이후 미국 고용이 안정화 되고 실업률이 하락하면서 연준의 금리인하에 대한 미온적인 태도로 변화했습니다.
일자리 시장에 대해서는 견고하다는 평가와 함게 실업률이 낮은 수준으로 일단 금리 동결을 하고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인플레이션률이 올라가게 됩니다. 아직 인플레이션이나 완전히 잡히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면 금리를 내리지 않고 동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준에서는 마땅히 경기 침체 우려도 없고, 인플레이션 발생 우려도 없어서 시장의 예상치와 부합하는 지표들이 나오자 기준금리를 동결시켰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 12월 파월은 25년 금리 인하 계획을 총 4회에서 2회로 변경할 예정이라고 발언하였습니다. 이는 고용율이 증가하고 실업율이 감소하며, 소비자 물가지수와 생산자 물가지수가 상승하는 추세에 있어 견고한 성장흐름을 보이자 굳이 물가의 급격한 상승을 유발하는 금리 인하에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의도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미연준은 금리인하에 적극적이지 않으며 굳이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뉘앙스를 시장에 던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최근 물가 상승 압력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했습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경제 안정과 물가 관리를 우선시한 결정으로 해석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특별한 이유라기 보다는 파월이 밝힌 부분은 현재 미국의 경제가 이미 좋은 상황이기에
굳이 급하게 내릴 이유가 없는 상황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앞으로 인플레이션 목표를 2%대로 맞추어야 하는데 현재 기준으로 간단간당하기에
현재 물가를 천천히 내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월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4.25%에서 4.5%로 동결하였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정책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히 존재하여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연준에서 금리를 동결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 연준이 금리를 동결했다는 것은
금리 인하를 할 정도의 경제 상황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준이 금리를 동결한 이유는 인플레이션 관리와 경제 안정을 우선시 헀기 때문입니다.
경제 지표와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아 추가 경기 둔화 우려가 있어서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