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을 몇일동안 못보면 그변은 어디로 가는건가요?
최장9일동안 변을 못 본적이 있어요
변비약을 먹고나서야 화장실을 가게 되었어요
그동안 빠짐없이 하루 세끼를 꼬박꼬박 다 먹었는데
그럼9일내내 그게 장속에 쌓여있는건가요?
끝끝내 변을 보긴했지만
그래도 먹기만하고 오랜기간동안 배출이
되지않으면
아무래도 장내가스,독소..등등 쌓여서
좋지는 않겠죠?????
9일동안 쌓였던건 한번의 변만 보고나면 끝일까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구강,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항문으로 이어진 위장관에는 다른 배출구가 없습니다.
즉, 대변은 다른곳으로 세어나갈 수 없고 반드시 항문을 통해 변으로 배출됩니다.
음식을 먹게되면 장에서 영양분을 얼마나 흡수하냐에 따라서 남는 찌꺼기의 양이 영향을 받고, 대장에서 수분을 얼마나 흡수하냐에 따라서 이 또 한번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또, 위장관의 운동속도에 따라서도 대변의 생성 및 배출 속도가 달라집니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예민한 상황에서 장의 운동속도가 떨어져서 대변의 배출 속도가 늦어졌을 수 있겠습니다.
9일은 꽤 긴 기간이긴 하지만 결국에는 항문을 통해 대변으로 배출됩니다. 한번에 다 빠져나왔을지 일부가 남아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또 시간이 지나면 빠져나올테니 걱정말고 기다려보시면 되겠습니다.
변비를 해결하려면 물을 많이 먹어주시고 식이섬유가 많이 포함된 채소종류의 음식을 많이 먹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혹시나 약을 먹고있으시다면 약 중에서 위장관 운동을 떨어트릴 수 있는 약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보시는것도 필요하겠습니다.
장내가스는 방구로 나오는 부분이라 걱정 안하셔도 되겠고 독소 또한 대장안에서는 늘 생성되고 배출되는 일이기 때문이 이런 부분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변비는 불편할뿐 변비 자체가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변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변을 못 보는 경우, 수분 역시 흡수되면서
점차 두꺼워지기 시작하여 변을 보기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변을 못 봤다고 해서 똥 독이
오르는 것은 아니며 소장 및 대장에는 이미 많은 노폐물이 있기 때문에 변 외에도 장 내 가스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 많은 상태입니다. 그러나 변비가 지속되는 경우, 변을 보기 위해 힘을
많이 주게 되어 치질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변을 보기 위해 힘을 과도하게 주면서 탈장 등의
위험성도 증가하게 되며 반복적인 변비는 장 운동을 억제 시켜 점차 약 없이 변을 보기
어려워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변이 어디로 가지는 않습니다.
그대로 대장내에 남아있게 됩니다.
당연히 오랫동안 변을 보지 않으면 좋지 않죠.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대변이 장을 통과하는 시간은 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30-40시간으로 알려져 있으며 길게는 70시간까지도 걸릴 수 있습니다. 대변이 각 부분을 통과하는 시간은 상이할 수 있으나 대장에서는 주로 수분이 흡수되므로 이로 인해 변비가 있다면 변비가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변을 9일 동안 보지 못하면 변은 장 내에 그대로 남아있게 됩니다. 대장에서는 변의 수분을 재흡수하는 기능이 있는데 그렇게 장기간 변이 장 내에 머무르게 되면 변이 딱딱해지고 더욱 보기가 힘들어지며 변비가 발생하게 됩니다. 변이 장내에 9일간 있다고 해서 독소가 쌓이면 안 좋고 그렇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음식을 먹고나면 음식에 있던 수분등은 대변이나 소변이 아니라 땀이라 호흡을 할때 배출되기 도합니다.
그렇지 않은 음식물은 장내에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