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9.05

매울때 왜 우유를 먹는 이유가 뭐죠

마늘이나 매운 음식들을 섭취할때 우유를 마시면 매운맛이 순간적으로 사라지더라구요

그래서 평소 매운맛을 좋아하는 저로서는 우유를 챙겨다니고 다닙니다

어떤 원인으로 우유가 매운맛을 줄여주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남다른물총새208
    남다른물총새20820.09.06

    매운맛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캡사이신은 화학구조를 보면 탄소를 많이 가지고 있어서 물에 잘 녹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매운 음식을 먹었을 때 물을 먹어도 많이 진정되지 않는 것입니다.

    캡사아신같은 구조를 가진 물질은 지용성 물질로 물보다는 기름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유는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서 캡사이신을 씻어내는데 도움을 준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매운 맛을 느끼게 하는 물질이
    수용성이 아닌 지용성의 물질이라고 합니다.

    그런 물질이 혀에 계속 남아 있게 되면 지속적으로 매울수가 있는 것이죠.
    침과 같은것으로 매운성분을 업애려면 좀 걸리는데
    이때 우리는 물을 마셔서 없애려 하지만
    잘 없어지지 않습니다.

    그런데 아이스크림을 마시면 금방 괜챃아 진다고 하죠

    그이유가 바로 지용성이냐 수용성이냐 의 문제란것이죠..

    매운맛을 느낀게 하는 물질이 지용성이라서 물에 녹지를 않는것입니다.
    물에 녹으면 물을 먹으면 없어지겠죠
    하지만 그렇지 않는 것입니다.

    아이스크림은 왜 그럴까요?
    유지방이죠. 그렇기 때문에 아이스크림엔 매운 물질이 녹아서
    같이 목으로 넘어가는 것이죠.
    맛은 혀가 느끼는 것이기때문에 (뭐 정확히 따지만 매운것은 통증이라고 하는군요..
    혀가 닷맛, 쓴맛, 짠맛,정도 느끼는데 매운맛을 느끼는것은 맛을 느끼는 미뢰라는 세포의
    통증으로 느껴지는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일단 목으로 넘어가면 맛을 모르게되는 것이죠..

    굳이 아이스크림이 아니라도 됩니다.
    우유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