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24.06.21

비장미, 골계미, 숭고미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시의 해설을 읽다보면 비장미, 골계미 숭고미와 같은 말들이 종종 등장하는데요~ 비장미, 골계미, 숭고미는 무슨뜻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비장미는 삶의 한이나 비극적인 상황에 대한 형상화를 뜻합니다. 한 마디로 슬픔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갈등에 맞서는 비장한 결의를 느끼는 것이나 현실의 장벽에 좌절을 느끼는 것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비장미는 강하게 세계와 대립하지만 실패하는 주인공을 많이 그립니다. 김소월의 '초혼', '접동새' , 정몽주의 '단심가'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골계미는 해학스럽거나 우스꽝스러운 상황 혹은 인간상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현실 상황에서 이상적인 것은 가치있는 것으로 여기지 않고 추락시켜서 표현하는 것입니다. '춘향전'에서 나타나는 변사또와 지배계층 등에 대한 표현에서 골계미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숭고미는 절대적인 가치를 지키는 것을 숭고하게 생각하고 자아가 이러한 속성을 본받고 따르려고 하는 감정을 표현한 것을 뜻합니다. 또한 이상을 현실에 융합시키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자연 등 절대적이라고 느껴지는 것과의 조화를 통해서 현실에 실현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작품의 예는 향가의 '찬기파랑가'와 단군신화, 동명왕 신화 등과 한용운의 '님의 침묵' 등입니다.

    질문에는 없지만 우아미라는 개념도 있습니다. 우아미는 모순, 갈등 등이 없이 현실을 받아들이고 순응하면서 주체와 객체의 조화를 보이는 갈등이 없는 상태입니다. 문학 속에서는 자아가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는 무언가를 대상으로 미적인 감각을 느끼고 그 느낌을 받아들이는 감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작품의 예는 윤선도의 연시조 '어부사시사', 조지훈의 시 '승무'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골계미의 정의는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어떤 교훈을 주는 일.'이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골계미는 대상을 익살스럽게 희화화할 때 발생하며 그리고 익살스럽게 만드는 표현법을 풍자와 해학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숭고미는 '숭고한 느낌을 주는 아름다움.'을 뜻합니다. 일반적인 인간의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경이와 위대함, 외경(공경하면서도 두려워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 숭고미입니다. 비장미란 '현실적 여건으로 시련을 겪고 좌절할 때 발생한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의 비장은 '슬프면서도 마음을 억눌러 씩씩함'을 뜻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