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길쭉한참새227
길쭉한참새22723.11.02

감기약 먹었는데 성분헌혈 가능한가요?

나이
18
성별
여성

감기약 이라기 보다는 코막힘, 콧물, 재채기 약을 먹었는데 성분 헌혈로 혈장 가능 한가요? 약은 어제 저녁에 먹었고 다른 약은 안먹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헌혈 가능 조건을 보면 감기약 복용시 1~3일후 헌혈 하실 것을 권고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1. 일반적으로 헌혈을 할 수 없는 자
    ○ 감기약 복용자
    - 종합감기약 : 당일복용만 헌혈 안 됨
    - 처방전 감기약(항생제 포함시) : 복용 후 3일 뒤 헌혈

    ○ 아스피린(아스트릭스 등) 복용자 3일 뒤 헌혈
    ○ 1개월 이내 내시경 검사자
    ○ 1개월 이내 외국(나라 불문) 여행자
    ○ 말라리아 위험지역 1년 이내에(12,1,2월 제외) 1일이상 숙박시 1년간 헌혈불가(군복무 2년)
    ▶ 말라리아 위험지역 : 강화, 김포, 파주, 동두천, 연천, 철원, 고양(일산, 덕양), 강원도(고성, 양구), 인천(동구, 서구, 중구, 옹진)

    (출처: 전주시 보건소)

    감기약을 복용했으면 3일 후에 헌혈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명시 되어 있지 않지만 몸이 아프지 않을 때 헌혈하는 것이 본인 건강이나 받는 사람에게 더 나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감기약제는 당일 복용하지 않는한 헌혈이 가능합니다.

    헌혈과 관련된 약제복용 제한사항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

    건선 치료제 복용 후 3년 경과(일부는 영구 헌혈금지)

    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복용 후 1개월 또는 6개월경과

     탈모증 치료제 복용 후 1개월경과

     여드름 치료제 복용 후 1개월경과

     기타 헌혈금지약물 복용 후 일정기간 경과

    ※ 간호사와 1대1 대면문진 시 확인 가능

    - 감기, 두통약, 해열소염진통제의 경우 당일 복용하지 않을 경우 가능(단, 발열, 목감기는 3일 제한)

    - 고혈압 약 : 혈압이 정상범위이고 합병증이 없을 경우 가능(1개월 내 처방내역 변경이 있을 경우 제한)]

    - 당뇨병 약 : 혈당조절이 잘되고 합병증이 없는 경우 가능

    - 항생제(약) : 7일간 제한(단, 감기치료 목적의 경우 3일 경과 후 가능)

    - 항생제(주사) : 7일간 제한

    ----------------------------------------------------------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최소 3일 정도는 간격을 두셔야 합니다

    안전하게 할려면 1주일 정도는 간격을 두시는게 좋겠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