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열려라 참깨라는 대사에 참깨가 어떤의미로 붙여졌나요?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보면 닫힌 동굴문을 열려라 참깨하면 동굴문이 열립니다.

저는 지금까지 뒤의 참깨가 운율이나, 감탄사의 목적으로 넣은 단어인줄 알았는데,


이 동화를 영문으로 볼 기회가 있어서 봤는데

참깨가 우리가 먹는 그 참깨(sesame)더라구요


참깨가 당시 어떤 의미가 있기에 참깨라고 쓰였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필 참깨인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습니다.

    우선 깨가 익어 꼬투리가 탁하고 터지며 벌어지는 모습을 보고 정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아랍 사람들이 참깨를 많이 먹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열려라 참깨에는 여러 속설이 있습니다

    깨가 익어 꼬투리가 탁하고 벌어지는 모습을 보고 착안했다는 설과 아랍사람들이 참깨를 많이 먹었다는 설, 이름을 뜻하는 히브리어 sem 과 관련있거나 참기름을 사용하는 바빌로니아의 마법과 연관된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한 참깨가 중세 아랍어로 simsim인데 참깨라는 뜻 이외에 문 이라는 뜻도 있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확인된 사실여부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열려라 참깨 라는 뜻은 중세 아랍어 심심에 참깨 라는 뜻 이외에 문 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그래서 열려라 참깨는 열려라 대문 이라고 외쳤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참깨 sesame의 뜻의 고대 바빌로니아 단어는 중세 히브리어로 Sumsum, 중세 아랍어로 Simsim이 된다고 합니다. 중세 아랍어 심심(Simsim)에는 참깨라는 뜻 이외에 문(Gate)이라는 뜻도 있다는 것이지요.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은 이것은 중세 아랍어로 "열려라 참깨"라고 외친것이 아니라 "열려라 대문"이라고 외친 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