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정직한낙타9
정직한낙타924.02.09

요즘 중국관광객들은 예전처럼 쇼핑을 많이 하지 않는 이유는 어떻게 되냐요?

요즘 중국관광객들은 예전처럼 쇼핑을 많이 하지 않는 이유는 어떻게 되냐요?

예전에는 중국관광객이 쇼핑을 많이해서 도움이 되었는데, 요즘은 왜 쇼핑을 적게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와 동일합니다. 경기가 안좋으니 그만큼 소비를 못하는 겁니다. 중국의 실업율은 역대 최대 수준이라 소비 여력이 없습니다. 그리고 중국 수준도 올라와서 한국은 더이상 매력적인 국가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에 중국 경기가 좋지 않으면서 이에 따라서 쇼핑에도 어려움이 있고 더불어서

    중국의 혐한 감정이 커지면서 그런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허준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거 약 20년 이상 LG생활건강의 화장품이나 한국에서 생산되는 각종 생필품, 공산품이 대중 무역에서

    어마어마한 매출 성장을 보여 한국의 경제성장에 크게 이바지하였지만,

    중국이 매우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자국 기업이 생산한 상품의 품질이 한국과 비슷해짐에 따라

    자국상품을 구매하고 있어 한국에서의 쇼핑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대중 매출이 높은 기업의 주가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최근 바닥을 기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의 경제 정책이나 정부 기조에 따라 자국상품 우선 주의를 관철하고 있어

    그것이 원인이라 하겠습니다.

    요약하자면,

    1. 중국 자국 생산품의 품질, 성능이 한국산 못지 않아 구매할 이유가 사라짐

    2. 중국 정부는 자국생산품을 우선으로 사용하도록 유도중이라 타국 상품을 구매할 이유가 사라짐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인 관광객 중 63%가 40대 미만의 젊은 세대로 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단체 관광보다 개인 여행을 선호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관광버스가 쇼핑몰 앞에 내려주던 중국인 관광객의 명품 쇼핑 습관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소매사업 영향으로 면세점 등 여행객을 겨냥한 소매 사업에 투자하거나 관광지에 매장을 많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들은 손실을 겪고 있습니다. 화장품 브랜드인 에스티로더와 시세이도도 실적 전망을 낮추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중국 관광객들이 과거와 같이 쇼핑을 하지 않는 이유는 중국 제품이 한국 화장품만큼 기술력이 올라온 것도 있으며, 최근 부동산 침체로 인해서 중국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 보니 소비를 줄인 것도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진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중국 경기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실물경기 가 많이 위축되었습니다. 가처분 소득의 감소가 관광 소비 역시 줄어들게 하였구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중국관광객들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로나가 끝나고 중국 관광객이 많이 올 것으로 기대했지만 실상은 달랐습니다.

    2023년 10월을 기준으로 보면 코로나 이전인 2019년 10월에 비해서 방한한 중국 관광객이 44%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 역시 경제 상황이 좋지 못해서 사용할 수 있는 돈에 제약이 많은 상태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한국에 오더라도 지갑을 쉽게 열지 못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