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다정한돼지87
다정한돼지8723.04.27

물은 왜 표면장력을 가지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물을 컵에 담아두면 왜 넘치는게 아니라 끝에는 둥글게 올라오게 되나요?

어느정도 수준까지는 넘치지 않더라고요

그런 힘은 어디서 생기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표면장력은 액체의 표면이 되도록 작은 면적을 취하려는 힘의 성질로, 물의 경우에는 수소결합에 의해 분자 간의 인력이 강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표면장력은 물방울이 둥글게 되거나, 바늘이나 곤충이 물 위에 뜨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분자가 서로 극성이기 때문에 서로 인력으로 붙어있으며, 이로 인해 물은 표면에 위치할 때 서로 끌어당겨지면서 표면에 층을 형성합니다. 이 현상이 바로 물의 표면장력이며, 물이 표면장력을 가지는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표면장력을 가지게 되는 이유는 물은 H2O로 산소가 가지고 있는 비공유전자쌍과 수소간의 수소결합력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표면장력(Serface tension),액체의 자유표면에서 표면을 작게 하려고 작용하는 장력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물 분자는 수소 원자와 산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분자 내부에서 결합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물 분자가 표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분자들이 서로 끌리는 힘에 의해 서로 붙어있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분자들이 표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위쪽으로 붙어있는 분자들이 없기 때문에, 아래쪽으로 붙어있는 분자들은 표면 아래쪽으로 끌리는 힘만큼 위쪽으로 끌려가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물 분자는 표면에 위치할 때, 표면 아래쪽으로 끌리는 힘과 위쪽으로 끌려가려는 힘이 서로 상쇄되어서 일종의 탄성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물의 표면장력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표면의 있는 물 분자들은 서로 뭉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힘 때문에 나타는 것이 바로 표면 장력입니다. 표면의 물은 아래쪽 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는 특징이 있고 이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서로 뭉치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분자들 사이의 높은 응집력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표면 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주로 물 분자들 사이의 수소 결합 때문입니다. 수소 결합은 물 분자들 사이에 강한 인력을 만들어내며, 이것으로 인해 분자간 힘이 약한 다른 액체들에 비해 물에 높은 표면장력을 형성할 수 있게 됩니다.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가장 주목할 만한 현상 중 하나는 모세관 현상입니다. 이것은 액체가 좁은 관 위로 흐르거나 중력에 대항하여 표면으로 올라갈 수 있는 능력입니다. 모세관 작용은 액체와 튜브 또는 표면 사이의 접착력이 액체 분자 사이의 응집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결과적으로, 액체는 접착력에 의해 표면을 타고 올라가 튜브 또는 표면의 가장자리에 있는 액체의 곡면인 메니스커스를 형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표면장력을 가지는 이유는, 물 분자들이 서로 간에 서로 다른 상태로 놓여 있기 때문입니다. 물 분자들은 서로 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자 간에 서로 인력이 작용합니다. 이러한 인력으로 인해, 물 분자들은 서로 가까이 모이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 분자들이 표면에 위치할 경우, 분자들의 위쪽에는 공기가 있기 때문에, 분자들이 서로 모이려는 힘이 아래쪽에 비해 작아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물 분자들은 표면에 위치할 때, 서로 더 밀접하게 모여들지 않으려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표면장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재연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물체들은 물체를 구성하는 '물질'들 사이에 서로 끌어당기려는 응집력이 존재합니다. 액체의 경우 이 응집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 '표면장력'입니다.

    물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고, 그 결과 조금 넘치는 양이 들어가더라도 힘에 의해 끝이 둥글게 말리고 넘치지 않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