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코인의 세금은 어떻게 되는가요?
얼마전에 있었던 우리나라의 코인에대한 세금이 2년 유예를
한다고 하는 뉴스를 본적이있는데요 그런데 미국같은 경우에는
코인의 세금은 어떻게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말 좋은 질문 같습니다. 실제로 현재 암호화폐 시장을 선도 하고 있는 미국의 과세 기준을 아는 것은 향 후 우리나라가 2년 유예 기간 동안 어떤 방향으로 과세를 결정할 지 예측 할 수 있는 매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 합니다.먼저 미국 국세청(IRS)은 암호화폐를 화폐가 아닌 재산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따라서 미국은 암호화폐를 매도, 교환, 사용하거나 소득으로 받는 경우 재산으로 간주하여세금이 부과됩니다.
우리나라도 부동산을 매매 할 때 양도소득세를 납부 해야 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는 암호화폐를 매도/교환 할 때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 "양도 소득세"를 부과 합니다.이때 중요 한것이 미국은 보유기간에 따라 양도소득세율을 다르게 적용합니다.
1년이하 보유 후 매도 시에는 일반 소득세율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최고 37%까지 세율을 적용 (우리나라 부동산의 경우 일정기간 미만 보유 시 비슷)하지만 1년 이상 보유 할 시에는 0~20%로 매우 작은 세율을 적용합니다.
즉 "장기 보유"를 권장하는 과세 시스템 입니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한번 사면 단기트레이딩을 잘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매도/교환이 아닌 암호화폐를 채굴하거나 에어드랍 그리고 스테이킹 보상과 같은 경우에는 시장 가치에 따라 "소득세"로 분류되어 과세가 되어집니다.
2년 유예가 되기 전 우리나라 과세가 많은 논란이 되었던 것이 이러한 기준이 정확하게 정해지지 않았던 것도 하나의 원인 이였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가상 화폐 거래 수익에 대한 과세는 양도소득으로 분류해 과세합니다.
1년 이상 보유후 매도시 세금 부과하지 않지만 1년 미만 보유 시 연간 이익 600달러 이상이면 과세됩니다. 20%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연 매매 차익 250만 원 초과분에 대해서 22% 과세를 하고 있습니다 1년 이내에는 크게 과세하지만 1년을 지나면 세율을 적게 해 주고 있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암호화폐도 미국 국세청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자산으로 간주돼 세금이 부과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매도를 통한 수익을 얻으면 양도소드세를 내야 합니다. 1년 이하 보유시에는 최대 37%의 단기 양도소득세율이 적용되며 1년 이상은 장기 양도소득세율로 20% 까지 부과됩니다. 또한 주마다 일부 지역별 차이가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암호화폐(비트코인, 알트코인 전부)를 자산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매매나 교환시 자본이득세를 내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1년 이하 보유시에는 소득세율과 동일하게 세금을 보유하고 있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는 암호화폐를 자산으로 보고, 거래 시 발생한 이익에 대해 세금을 부과합니다,.
이는 자본 이득세 형태로, 거래 차익에 따라 세율에 달라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과세체계는 투자 기간에 따라 상이하게 부여합니다
1년 이하의 투자이익에 대해서는 과세가 최대 37%까지 부여가 되지만 장기 투자자들에게는
최대 세금이 0%까지 하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은 사람들의 장기투자를 유도하는 정책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를 자산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비트코인을 판매하거나 다른 암호화폐와 교환할 때 발생하는 이익은 자본이득으로 간주합니다. 자본이득은 보유 기간에 따라 단기와 장기로 나뉘며 이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1년 단기 자본이득세는 10%~37%의 세율이 적용되며 장기 자본 이득세는 1년을 초과한 경우 0~20%까지 세율이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