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7.11

중세시대 유럽의 봉건제도가 하락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중세시대 유럽의 봉건제도가 하락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어느 순간에 봉건제도(영주)가 몰락하고 왕권이 강화되었다고 하는데...

그 계기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봉건제의 경제적 근간을 흔든것은

    흑사병이었다.

    그 결과, 노동인구는 줄었고 경작되지

    못한 토지는 증가했다. 봉건제도를

    지탱하던 경제 토대에 균열이 생긴데다

    여기에 십자군전쟁 실패로 인한

    사회체제 동요, 농민반란 길드의 등장과 상인계급의 성장이 유럽사회에 영향을 미치면서 봉건제도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십자군에 의해 상업 무역이 발달하여 각 도시가 힘을 길러 자급자족의 생활에서 벗어나 화폐 경제가 발달함으로 구시대의 유물인 봉건제도는 붕괴 됩니다.

    영주들도 화폐 경제에서 화폐를 필요로하게 되기 때문에 그때까지 자신의 영지에서 무상으로 농노로 하여금 농작물을 공납시키는 노동 지대에서 농노 자신에게 빌려주어진 땅에서 잡힌 농작물을 공납하는 생산물 지대이나 공납 화폐 지대로 옮겨갔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농노는 농경에 동기 부여가 조금 높아지고 영주와 농노의 관계는 양화하고 있으며 당시 흑사병이 대유행합니다.

    덕분에 많은 농노들은 죽었으나 농노의 전체 수가 줄어든 것으로 살아남은 농노의 가치가 상승, 결과 농노의 지위는 상승하고 점차 농노 해방되는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부유한 농민과 몰락 영주는 젠트리와 영국에서 불리며 지배 계급이 되어 갑니다.

    농노에서 해방된 농민이라는 비교적 자유로운 신분이 된 사람들이지만 욕심 일부 영주들은 농민에 대한 지배를 강화해 과거 봉건 시절을 되돌리려 하지만 통제는 불가능했고 결국 봉건적 반동에 대 반란이 일어나게 되며 대표적은 프랑스의 작크리의 난, 영국의 와트 타일러의 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