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경기에서 규정타석이라는 용어를 많이 듣게 되는데...
1) 규정타석의 정확한 의미는?
2) 규정타석 채우지 못한 경우에는
타율, 홈런, 도루, 장타율.. .등등
순위권에 있더라도 제외되는 것인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숭늉한사발입니다.
규정타석은 해당 팀의 경기수에 3.1을 곱해서 산출합니다. 리그에 따라 소숫점이하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다르구요.
비율에 관한 기록(타율,출루율.장타율)에는 순위권에 이름을 올리지 못합니다. 그외 수치에 관한 기록(홈런,타점,도루)에는 올라가죠.
그런데 1위 즉 해당기록의 타이틀홀더의 경우는 예외가 있습니다.
시즌 종료 후 어떤 선수가 기록이 좋은데 규정타석을 못 채운 경우 규정타석까지 모두 아웃일 때를 가정해서 나오는 기록이 1위보다 좋다면 타이틀 홀더가 됩니다. 이때의 기록은 아웃을 가정해서 산출한 기록이 아닌 원래의 기록으로 기록하구요.
안녕하세요. 깍듯한참밀드리134입니다.
타자가 그 시즌에 공식으로 소화해야 하는 타석의 수. 타자가 주전 선수의 처우를 받고, 타격 성적을 공적으로 인정받아 개인상 심사 대상에 오르기 위해서는, 누구든지 야구규칙이 정하고 있는 최저한의 타석수를 채워야 합니다
규정 타석수는 그 선수가 소속한 팀이 소화한 경기의 3.1배 이상이어야 자격이 인정됩니다
따라서 100경기를 치른 팀의 타자는 그 3.1배인 310타석이 규정 타석수입니다
그리고 규정타석 미만이면 기록 순위에서 제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