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돌아온전어17
돌아온전어1724.04.13

사후피임약 2주 내에 또 먹으면 안되겠죠?

나이
27
성별
여성

3월 31일에 질외사정 하고 불안해서 4월 1일에 사후피임약을 한번 먹었습니다.


이후 생리가 4월 9일에 시작됐고, 그날 밤부터 바로 경구피임약 복용을 시작했습니다.

경구피임약은 거의 5-6개월 동안 끊었다가 이번 4월 9일부터 다시 먹은 겁니다.


4월 12일 밤에 관계를 가졌는데, 다 끝내고 나서 콘돔이 찢어진 걸 확인했습니다.


아직은 임신하기에 너무 이른 시기라 피임을 원합니다.

사후피임약 자주 먹으면 굉장히 좋지 않다고 들어서 걱정되는데, 먹어도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사후피임약은 생리주기 상관없이 관계 후 72시간 이내 복용하면 높은 피임효과(98% 내외)를 보입니다. 하지만 단기간 내 여러 번 복용할 경우 두통, 오심, 불규칙 출혈 등 부작용 위험이 높아집니다.

    3월 31일 질외사정 후 복용한 사후피임약으로 4월 초 임신은 예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경구피임약은 복용 7일차부터 피임효과가 있으므로, 4월 9일부터 드시기 시작했다면 12일 관계 시에는 피임 보호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콘돔 파손이 확인되었으므로 사후피임약 복용을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사후피임약 복용 여부는 여성 본인이 결정할 사안이지만, 남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응급피임 목적이라면 1회 추가 복용은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장기적으로는 피임의 주된 방법으로 경구피임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시고, 콘돔을 병용하시는 것이 도움될 것 같습니다. 피임에 어려움을 겪으신다면 산부인과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같은 생리 주기에 반복해서 사후피임약을 복용하는 것은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권장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생리를 하여 새로운 주기이므로 복용하더라도 크게 문제 되진 않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참 상황이 애매하네요. 아직 경구 피임약을 다시 복용한지 1주일이 지나지 않은 상태라서 추가적인 피임은 필요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문의 주신 것처럼 사후 피임약도 호르몬이라서 자주 드시는 것이 좋지는 않습니다. 다행인 것은 생리 시작일이 9일이니 12일이라면 아직 생리중인 상태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비가임기라서 사후 피임약까지는 복용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