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빚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진 이유가 뭘까요?
우리나라의 가계 부채규모가 큰 편이라고 하는데요. 원래부터 이렇게 부채가 많지는 않았던 것 같은데 이렇게 증가한 원인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가 커진 이유는 저금리 기조와 부동산 가격 급등이 맞물린 결과로 보입니다.
주택구입을 위한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의 증가가 부채 규모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연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가계부채문제는 최근의 문제라기 보단 근 10~20년 사이에 급증한 문제라고 보시는게 맞을듯 합니다.
금리가 낮은 상황을 유지하고, 부동산가격상승, 대출제한 완화 등의 이유가 있었고요,
신용카드 남발과 비은행권 대출등의 증가도 원인이 될 수 있겠네요.
거기에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는 시기와 맞물려, 가게소득 증가가 부채의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계속해서 가계부채가 상승하는 상황이 되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가 급격히 증가한 이유는 최근 몇 년간 저금리 정책이 지속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부동산 구매 또는 투자를 위해 대출을 쉽게 하다 보니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됐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부동산 중심의 자산 형성 문화로 인해 발생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집이 곧 자산이라는 인식이 강해서 전세 -> 대출끼고 매수 -> 더 큰 집 구조로 부채가 증가하게 되었다고 봅니다. 집값 상승기엔 이 구조가 더 심화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주택 구입시 60~80% 가까이 장기 대출을 일으키다 보니 해당 물량 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저금리 시기에 부동산과 주식 투자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출이 급증했어요.
영끌과 빚투 현상이 퍼지고, 정부의 규제 변화로 풍선효과도 나타났어요.
코로나 이후에는 생활비 부담과 소득 감소로 신용대출이 늘었어요.
이처럼 여러 요인이 겹치며 가계부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거예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이유는 문재인 정권때 집값 상승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많이 받은 상황에서 금리가 상승해서 이렇게 되었습니딘.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부동산이 급등하면서 너도나도 저금리에 주택 구매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17년부터 서울을 비롯 주요 도시 아파트 가격이 급상승하면서 대출을 통한 수요가 증가했으며 이 부동산 대출이 가계부채의 큰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펜데믹으로 인한 인터넷 쇼핑, 배달음식, 명품 수요 급등으로 인한 소비 촉진이 부채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2010년이후 부동산 시장이 급격하게 증가하게되고 특히 수도권 중심으로 부동산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이들 가격이 증가한것이 요인입니다.
즉 가계부채가 증가할수록 부동산시장이 증가한것이며 현재 가계부채의 대다수는 주택담보대출로 이루어지고 잇는 구조입니다 즉 그러다보니 오히려 정부가 가계대출을 규제할수록 이런 수요가 풍선효과로서 부동산시장의 수요로 다시 들어가고 오히려 서울을 규제하게 되면 수도권이나 다른 지역 그리고 법제망을 피하는 형태로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런 주담대가 증가한게 원인입니다.
즉 부동산 가격이 증가할수록 가계대출이 증가하는 구조로서 영향을 미치게 되고 국내의 자산 중심이 80%이상이 주식이나 금융자산이 아니라 부동산 시장으로 형성된것도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의 가계부채가 증가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보통 가장 큰 원인으로는 부동산 시장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저금리 환경에서 수도권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서두르지 않으면 내집 마련이 멀어질 것이라는 심리에 무리한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구매하는 영끌족들이 늘어났고 이는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를 유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