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8.04

항상 심심하다고 놀아달라고 조르는 경우 너무 힘들어 고민입니다.

아이는 현재 5살입니다. 유치원을 다니고 있습니다. 3,4살때는 많이 어리니까 부모가 집에 있을때에는 같이 시간을 보내고 놀아주고 하는게 너무 당연한데요. 5살이되고 유치원도 다니면서 좀 컸다싶었는데 혼자서 좀 놀았으면 좋겠는데 자꾸만 심심하다고 와서 같이 뭔가를 하자고 합니다. 그렇다고 제가 아예 안놀아주는 것도 아닙니다. 책도 읽어주고 그림도 같이 그리고 만들기도 하고...그러다 저도 사람이니까 좀 쉬고싶은데 그 틈을 못참고 이녀석은 또 놀아달라고 떼씁니다. 그럼 그 땐 저도 모르게

'너 유치원 다시 갈래?''유치원 다시 가자"이런 말이 나옵니다ㅠㅠ부모들이 대체 어떻게 해야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혼자서 놀이하는 것보다 엄마와 놀이하는 것이 훨씬 재밌긴 때문이에요.

    놀이의 주도성이 아이가 될 수 있도록 함께 훈련해주세요. 아이가 하는 말을 따라해주세요. 아이가 먼저 소꿉놀이하자 한다면 "소꿉놀이 해볼까?" 이거 심심하다라고 이야기하면 "심심했니?"그냥 그대로를 따라해주세요.

    아이가 재미없어하거나 심심해해도 속상해하지 마시고 부모인 우리가 즐겁게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 아닌 아이가 스스로 즐거운 놀이를 찾을 수 있도록 기회를 주어야합니다. 엄마의 공감에 힘을 입어서 놀잇감을 스스로 찾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


  • 질문자님의 아이가 질문자님을 굉장히 좋아하나 봅니다. 아이들이 아무리 부모라고 할지라도 부모님을 믿고 의지하지 않으면 질문자님의 아이처럼 계속 놀아달라고 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내일 즐겁게 재미있게 잘 놀아 주시기 때문에 아이가 질문자님을 찾는 것입니다.

    힘드시라도 조금만 긍정적으로 마음을 갖고 아이와 새로운 놀이거리를 찾아주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항상 심심하다고 놀아 달라고 보채는 이유는 아이는 아직 놀이에 만족이 되지 않았기 때문 입니다.

    즉 아이는 아빠가 놀아주었다고 하지만 놀이의 양이 차지 않았어요.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정말 하고 싶어하는 놀이를 해주시는 것이 좋구요.

    이럴 때는 아이와 놀이시 지켜야 할 약속을 정해서 놀이를 하는 것도 방법이 되겠습니다.

    예를 들면 아이가 블록놀이를 하고 싶어요 라고 한다면 블록 놀이는 이 시간 부터 이 시간까지 놀이를 할거야 그리고 아빠와 놀이가 끝나면 혼자서 책을 읽는 시간을 갖던지, 그림을 그리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좋겠어 라고 부드럽게 말을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시간을정하고같이노는것이좋으며


    그외시간은 혼자놀수있게 교육하면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숙제를 내주는 것도 좋습니다

    엄마는 요리를 해야 하니 ㅇㅇ는 블럭을 이만큼 쌓아 볼 수 있겠지?

    ㅇㅇ는 우리 가족의 얼굴을 그릴 수 있겠지? 라고 숙제를 내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엄마아빠도 할 일이 있고

    그래서 매번 놀아줄 수 없고 혼자 노는 것도

    알아야 한다고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외동이거나 그러면 그럴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항상 놀아줄 수 없음을 알려주시는 등

    말해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혼자노는방법을알려주세요

    혼자서놀이할수있는 놀이감을주고 방법을알려주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항상 부모님과 함께 놀고 싶어 합니다

    혼자 노는 것 보다 엄마 아빠와 같이 놀면서 상호작용을 열심히 해주시면 아이의 언어력 발달에도 도움이 되고, 정서에도 안정감이 들 것입니다.

    힘드시겠지만, 지금 시기가 아니면 아이와 놀아주고 싶어도 더 커서는 아이가 먼저 경계를 한답니다

    아이의 정서 발달을 위해서 함껜 놀아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