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 GM ⠀
⠀ GM ⠀24.04.09

한국은행이 지속해서 금리를 동결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금리 추이를 보면 몇 개월동안 금리가 동결되어 있더라고요.

지속해서 동결하는 이유는 무엇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물가상승률 안정

    최근 물가상승률이 목표치(2%) 수준으로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추가 금리인상으로 경기를 과도하게 위축시킬 필요가 없다는 판단입니다.

    2. 경기 둔화 우려

    지나친 금리인상은 소비,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침체 리스크를 높일 수 있습니다. 경기둔화 방지를 위해 금리를 동결하고 있습니다.

    3. 금융불균형 해소 시간 확보

    가계부채, 주택가격 등 금융불균형 해소를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금리동결로 완화된 환경에서 리스크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4. 대내외 불확실성

    미중 무역갈등, 브렉시트 등 국내외 정치·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금리를 동결하고 있습니다.

    5. 금리인상 효과 판단

    기존의 금리인상 효과가 경기, 물가에 어떻게 파급되는지 지켜보는 상황입니다. 동결로 정책 시간을 갖는 셈입니다.

    한국은행은 완화적 정책기조를 유지하며 물가안정과 경기둔화 방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향후 경제상황에 따라 금리정책을 재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지속적으로 동결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외부 여건: 국제 금융시장이 불안정하거나 주요 경제 지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 한국은행은 금리를 동결하여 경제를 보호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습니다.

    금융 안정: 금리를 동결하여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둘 수 있습니다. 금리를 급격하게 인상하거나 인하하면 금융 시장에서의 불안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금리 동결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이 금리를 내리지 않아

    우리나라가 현재 금리차도 심하여 선제적으로

    내리기는 부담스러워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의 경우 사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따라서 함께 금리를 인상했어야 하나 우리나라의 부채가 심각한 상황이며 특히나 PF대출의 리스크로 인해서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못하고 있었던 상황이에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한국은행이 금리 동결을 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은행은 최근 1년이 넘도록 금리를 3.5%에서 동결하고 있는데

    섣부르게 내리지 못하는 것은 일단

    부동산의 문제와 더불어서 물가의 문제가 겹쳐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