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영리한메추리27
영리한메추리27

비농업부문 신규 일자리수가 늘었다는거?

이거가 금리인하의 발목을 잡고있다는게

무슨말인지

경제공부 처음이라

모르는거 질문해보며 배우려고

질문드립니다

예상치는 무슨기준으로 잡으며 예상치보다크게 웃돌았을때 금리인하안하는이유가 반대로

금리인상하면

신규일자리수가 줄어드는거랑 상관이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농업부문의 일자리가 크게 증가하였다는 것은 미국의 경제 상황이 나쁘지 않고 굉장히 양호하다는 것을 방증하는 결과물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미국의 경제가 침체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 금리인하를 하겠지만 반대로 미국의 경제가 양호한 상황이라면 인플레이션율의 억제가 더욱 급선무이다 보니 금리를 인하하게 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지게 될 수 있는 것이에요

  • 경제 공부를 처음 시작하신다니, 질문을 통해 배우고자 하는 자세가 매우 훌륭하네요.

    금리 인상이 기업의 대출 비용을 증가시키면, 기업들은 투자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신규 일자리 창출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도 대출 비용 증가로 인해 소비를 줄이게 되므로, 전체적인 경제 활동이 둔화되고 이는 일자리 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질문해주신 비농업부문 신규 일자리수가 늘었다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자리가 늘었다는 것은 경제 상황이 좋다는 뜻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연준에서는 급하게 금리를 인하해야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게 만드는 요소입니다.

    그래서 금리 인하의 발목을 잡는 모양새가 됩니다.

  • 비농업 부문에서 신규 일자리 수가 늘어나면 경제가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활발한 경제 활동을 하고 있어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없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예상치보다 크게 신규 일자리가 늘어날 경우에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는 고용 시장이 너무 빠르게 성장하여 임금 상승과 가격 상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여 경제를 안정화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신규 일자리가 많이 늘어났다면 이에 따른 고용이 견고하여 시중에 많은 통화가 유통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물가가 안정되지 못하는 등 하여 금리를 인하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 비농업 부문의 경우 서비스, 제조업, 관광업 등입니다. 비농업 부문의 일자리 증가는 해당 산업이 나쁘지 않다는 의미이고 미국 같은 노동 탄력성이 큰 국가의 경우 고용지표가 거의 현경제 상황을 대변하는 동행지표입니다.

    고금리 하에서 미국 경제가 견조하다는 의미이고 미연준이 금리 인하를 주저하는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 신규 일자리 수는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그 뒤에 금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신규 고용이 많이 늘었다면 그만큼 경기가 활발하다는 뜻입니다. 고용이 많이 늘면 그만큼 임금 상승 가능성도 높습니다. 임금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인플레이션이 올라갈 가능성이 높으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올린 금리를 쉽게 내리지 못합니다. 그래서 금리 인하가 그만큼 더 뒤로 미뤄지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비농업부문 신규 일자리 수가 늘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새로 일자리를 얻었다는 뜻입니다. 이 수치가 예상보다 높으면 경제가 좋다는 신호로 해석되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하할 필요성을 덜 느끼게 됩니다.

    금리를 인상하면 돈을 빌리기 어렵고 비싸져서 기업들이 투자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신규 일자리 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 비농업부문 신규 일자리수가 늘었다는 것은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경제 성장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하기 쉬워지고, 투자와 소비가 촉진되어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농업부문 신규 일자리수가 예상치보다 크게 웃돌았다는 것은 경제활동이 예상보다 더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할 필요성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일자리가 늘어나게 되면 기준금리가 오르는 이유는 고용시장이 상세를 띄면 노동자들의 임금 역시도 상승하기 때문인데요. 그렇게 되면 소비가 늘고 또다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서 기준금리가 오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비농업부문 신규 일자리수가 늘었다는 것은 경제가 잘 돌아가고 있다는 뜻입니다. 즉, 고용시장이 강하고 사람들이 일자리를 많이 찾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일자리가 늘어나면 사람들의 소득이 늘어나고 소비를 더 많이 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금리가 낮아지면 사람들은 대출을 받아서 소비나 투자를 더욱 늘릴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물가가 상승할 우려가 있습니다. 그래서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을 통해 대출 수요를 조절하여 과도한 소비 증가와 물가 상승을 예방하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