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금리는 계속동결이고 우리나라도 동결이던데 금리를 내린다면 어떤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이번에도 한국은행에어 금리를 동결했던데. 만약에 금리를 내린다면 어떤 현상들이 부담스러워서 못내리는건지가 궁금합니다.~
질문해주신 기준 금리를 내리게 되면 발생하는 일들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준 금리가 내려가서 대출 금리가 내려가면
시중에는 자연스럽게 현금이 풀리게 되고
현금이 풀리게 될수록 현금 가치가 떨어지며
이는 곧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금리 인하를
조심하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미국과 우리나라 금리가 역전되어 있는 상황으로 환율도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격차가 더욱 벌어지기 때문에 환율이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하여 금리를 우리가 선제적으로 올릴 수는 없고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그 때서야 인하를 할 수 있는 상황으로 미국의 기준금리를 지켜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감사합니다.
조금 더 돈을 끌어당기고 싶겠죠 계속 올리면 중,저소득층(대출이 많은 일반시민, 자영업자) 들이 어렵죠
그러니 물가를 잡는 다는 명목하게 계속해서 부자들을 위한 행위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부자들이야 예금이자도 받고~ 미국같은 경우는 금리가 높으니 사람들이 달러를 보유하려들고 투자도 하고 주식도 하기에
미국 기업들에게는 매우 호재죠 땡큐고 , 하지만 미국에도 저소득층이 있습니다, 금리 유지해서 떨어진다고는 하는데 무슨의미가 있을까요 돈많은 사람들이 그리많은데, 물가가 올라가던지 말던지 빨리 내리는것도 생각해볼만합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개인들 입장에서도 대출 이자 비용 등이 줄어들어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고 소비가 증가합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대출 이자 비용 등이 줄어들고 투자가 늘어나게 됩니다
투자와 소비가 증가하게 되면 그 나라 경제는 경기가 살아납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주식시장이나 부동산 등 투자자산 시장도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다만 문제 점으로는 물건들의 가격도 올라가서 물가 상승을 유발합니다
아무래도 금리를 내린다면 현재보다 실물경제가 회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리가 인하된만큼 위험 자산 등으로 투자금이 이동될 가능성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금리를 내리면 소비가 활성화 됩니다. 지금은 기존보다 금리가 오른 상황이라 대출을 받기 어려워 졌고, 기존 대출자도 이자가 거의 2배 가까이돼서 주머니 사정이 안좋아 졌습니다. 또 이전보다 예금적금하기도 좋아집니다.
그러니 아끼게 되고 자연적으로 소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면 기업들의 실적도 안좋아지게 되고요. 기업이 고용을 줄이고 일자리가 줄고 또 다시 소비가 줄고 이런식으로 경기가 안좋아 지게 됩니다.
금리를 내리면 이와 반대가 됩니다. 내던 이자보다 덜 내게 되고, 대출도 받기 수월해집니다. 그럼 이렇게 남는돈들이 투자로도 가고 소비로도 갑니다. 그러면 기업들도 실적이 좋아 지고 고용도 창출됩니다.
감사합니다.
금리 인하로 인해 자금 공급이 증가하면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현재 높은 물가 상황 속에서 금리 인하는 더욱 심각한 물가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리 인하로 인해 국내 금리가 해외 금리 대비 낮아지면 자본 유출이 증가하고 환율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낮은 금리 환경 속에서 가계 부채가 증가하는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가격 상승과 더불어 가계 부채가 증가하면 금융 불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급격한 금리 인하 정책은 금융 시장 불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금리를 내리면 돈을 빌리기가 쉬워져서 사람들이 더 많이 소비하고 투자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물가가 올라서 인플레이션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금리를 쉽게 내리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