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23.12.01

유교는 중국에서 아주 오래전에 탄생했는데 이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나라는 명나라이외 또 어떤나라가 있나요?

유고하면 기원전 공자가 바로 떠오르는데요. 그렇다면 이 오래된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한나라는 명나라가 떠오르는데 명나라 이외 중국에서 또 어떤 나라들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에서 유교를 바탕으로 한 나라는 명나라 외에도 한나라, 당나라, 송나라, 청나라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의 한나라는 유교를 관학으로 채택하였으며, 수당시대에는 과거제의 실시로 유교가 크게유행하였고, 송나라때에는 성리학이 집대성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일본, 베트남등지로 전파되어 각국의 실정에 맞는 유교 문화를 꽃피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 ( 儒 敎 )는 기원전 6세기 춘추시대 태동한 제자백가 의 한 분파이자, 공자 가 이전 시대의 문화와 사상을 정리한 유가 를 후대 공자학파의 사상가들이 계승하여 체계화한 중국 사상종교의 한 종류이며 이러한 유교의 영향을 받은 국가는 주나라, 한나라, 송나라, 명나라 등 많은 한족 국가들이 유교에 양향을 받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에 의해 창시된 유교(엄밀히 표현하면 유학이라고 해야 함)는 춘추시대의 사회적 혼란상을 극복하기 위해 나타난 제자백가 사상 중 하나의 사상이었습니다. 춘추시대에는 제후들이 영토확장에 혈안이 되어있기 때문에 공자의 도덕과 예의로 다스리는 덕치를 받아들일 여유가 없었습니다. 이에 공자는 제자들과 고통스러운 여정을 마치고 고향인 노나라로 돌아와 노나라 역사서인 춘추를 집필하는 것으로 생을 마감합니다. 이후 중국을 천하통일 한 진나라의 시황제는 사상적 기반을 법가 즉 패도정치로 삼았기 때문에 자기노선에 반대하는 유가사상가 460여명을 생매장시키고 모든 유교경전을 모아두고 불을 지르는 행위 즉 분서갱유를 저지릅니다. 그리고 한나라가 유교를 국학으로 삼고 경서를 복원하는 등의 노력을 하여 경학과 훈고학의 모습을 갖추게 되고 송나라 때는 성리학의 모습으로 명나라 때는 왕수인에 양명학의 모습으로 청나라 때는 고증학의 모습으로 변화되어 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를 최초로 국교화한 때는 한 무제때입니다. 동중서의 건의를 받아들여 한나라는 유교를 국교화했습니다. 이후 대부분의 중국 왕조는 유교와 유학을 통치이념으로 활용했습니다. 충과 효를 강조하는 유교이념과 신분제 질서를 존중하는 생활철학이 황제지배체제를 유지하기에 유용했기 때문입니다. 한, 당, 송, 명 등 한족 왕조가 대표적이며 북방 유목민족의 정복왕조들도 유학을 통치이념으로 활용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를 바탕으로 한 나라로는

    한나라, 송나라 등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