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23.10.27

사육신은 왜 거사를 미루다가 결국 당하게되나요?

사육신은 단종 복위를 위해서 거사를 준비하다가 일정을 자꾸 미루게 되고 결국 배반자가 나와서 사형당하는데 어떤 이유때문에 자꾸 거사일정이 밀리게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56년 세조 2년 6월 창덕궁에서 명나라 사신을 향응하는 기회를 타 거사하기로 했으나 계획이 어긋나자 김질, 정창손 등은 사태의 불리함을 깨닫고 거사를 밀고, 세조는 곧 성삼문 등에게 고문을 가하나 모두 굴하지 않았으므로 성삼문, 박팽년,하위지, 유응부 등은 거열형에 처하고 유성원은 자살 후 거열형을 당했습니다.

    1456년 6우러 본국으로 떠나는 명나라 사신의 환송연에서 성삼문의 아버지 성승과 유응부가 국왕 양쪽으로 칼을 들고 지켜서는 별운검이란 것을 하게 됨을 기회로 세조 일파를 처치하기로 결정하나 이 사실이 사전에 누설되어 계획이 좌절됩니다.

    세조가 친히 운검을 취소하고 성삼문이 이에 없앨수있다고 반대하나 신숙주가 찬성하여 취소되었다고 하며 이 때 윤영손이 노해 신숙주를 죽이려하나 성삼문이 말리고 거사를 연기합니다. 이들의 계획이 좌절되자 같은 동지이며 집현전 출신인 김질 등은 뒷일이 두려워 장인 정창손을 통해 세조에게 단종 복위 계획의 전모를 밀고해 세조는 연루자들을 잡아 스스로 이들을 문초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질이 세조를 알현한 그 날 실록을 보면 성삼문이 자신을 처음 불러 "근일에 혜성이 나타나고 사옹방의 시루가 저절로 울었다니 장차 무슨일이 있을 것인가" 하고 운을 뗐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욱신들은 원래 1456년 6월 본국으로 떠나는 명나라 사신의 환송연에서 성삼문의 아버지 성승과 유응부가 국왕 양쪽으로 칼을 들고 지켜서는 별운검(別雲劍)이란 것을 하게 됨을 기회로 세조 일파를 처치하기로 결정하였으나 이 사실이 사전에 누설되어 계획은 좌절되었고 이 때 윤영손이 노하여 신숙주를 죽이려 했으나 성삼문 등이 말리고 거사를 연기하였고 이들의 계획이 일단 좌절되자 같은 동지이며 집현전 출신인 김질등은 뒷일이 두려워 장인 정창손을 통해 세조에게 단종 복위 계획의 전모를 밀고하여세조는 연루자를 모두 잡아 들여 스스로 이들을 문초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