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수요 회복이 무역 물류산어보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여행수요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 항공화물 운송, 면세점 산업, 여행자 휴대품 통관 등 무역과 연결된 분야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대략적이라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사람들 여행 다시 다니기 시작하면서 항공 여객 수 늘고, 그만큼 여객기 짐칸에 실리는 항공화물 공간도 같이 늘어난 셈입니다. 팬데믹 땐 화물기 의존도가 컸는데 이제 여객기 복항 덕에 물류비 조금 안정되고 있고요. 면세점도 다시 살아나면서 수입품 유통량 자체가 확 늘었고, 특히 여행자 휴대품 반입 늘어나면서 세관 현장도 예전보다 더 촘촘하게 들여다보는 분위기입니다. 무역 물류랑 여행이 생각보다 맞물려 돌아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여행수요가 회복되면서 항공사들이 여객기에 화물칸을 함께 활용해 운송량을 늘리는 추세고, 이에 따라 항공화물 운임도 다소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면세점도 다시 활기를 띠며 물류 재고 관리가 바빠졌고, 여행자 휴대품 통관은 간편하게 처리하려는 비대면 절차가 더 강화되는 분위기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여행수요 회복은 무역 물류 산업에 완벽하게 연계된 것은 아닐 것이나, 일단 여행수요가 증가한다는 것은 우리나라로 향하는 국제선 항공편 증대와 함께 항공화물 운송량, 수하물 처리량 증가가 기대됩ㄴ지다.
또한 면세점 산업에서는 여행객이 늘어나는 부분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나 최근에는 k브랜드 매장 중심으로의 소비들도 늘어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여행수요의 증가에 따라 일단 항공산업은 호황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과거에는 항공기 화물운송비중을 높였다면 현재는 사람에 대한 운송을 보다 늘리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만, 면세점의 경우에는 여전히 과거의 영광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 면세점의 주요고객이 중국의 큰손들이었기 때문이며, 이러한 큰손들이 다른 국가로 이전하거나 혹은 하이난 섬의 면세점을 이용하게 되면서 한국의 면세점들은 여전히 매출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행자휴대품통관의 경우 이러한 여행자들의 수요에 맞게 꾸준하게 개정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는 담배 200개비, 주류 2L 400불, 향수 100ml, 일반물품 800불로 규정이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