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도가 높으면 왜 온도가 그리 높지 않아도 땀이 많이 날까요??
안녕하세요!!
여름에 햇빛이 엄청 강열하지 않아도 습도가 높게 되면 땀이 막 나는것같은데요..
이게 여름에 온도는 그렇게 높지 않은데 단지 습도가 높으면 왜 땀이 더 많이 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저만 그런거라면 단순히 개인차이일까요??
우리 몸은 땀을 통해 열을 방출하여 체온을 조절합니다.
즉, 땀이 증발하면서 피부 표면에서 열을 빼앗아가 마치 시원한 바람을 느끼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줍니다.
하지만 습도가 높으면 땀이 잘 마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대기 중에 많은 수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땀이 증발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땀이 많이 난다기 보다 땀이 증발하지 않아 피부에 더 많은 땀이 남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습도가 높으면 증발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땀을 더 많이 분비합니다. 땀은 증발할 때 열을 흡수하여 체온을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습도가 높은 날에는 동일한 온도라고 하더라도 더 덥게 느껴지는데요, 이는 물과 공기의 열전도율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물은 공기에 비해서 열전도율이 더 높으며 주변에 습기가 많으면 습기로 인해 몸에 열기를 더 많이 전달하기 때문에 같은 기온이라고 하더라도 더 덥게 느껴집니다. 또한 습도가 높은 날에는 높은 습도로 인해 공기에 수분이 가득하기 때문에 땀이 증발하기 어려워지며, 결국 열을 잘 방출하지 못하면 덥다고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땀은 체온 조절을 위해 발생하는 생리적 반응입니다. 습도가 높을 경우, 주변 공기에 수증기가 포화되어 있어 땀이 증발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로 인해 땀이 피부에 더 오래 남아있게 되고, 땀의 증발 속도가 감소합니다.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땀이 증발하기 어려워 체온을 낮추기 위한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우리 몸은 계속해서 땀을 분비하여 체온을 조절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습도가 높을수록 땀이 더 많이 분비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물론, 개인 차이도 있을 수 있으며, 개인의 체온 조절 능력과 땀 분비량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습도가 높을 때 더 많은 땀을 분비할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습도가 높을 때 체감 온도가 높아지고 땀이 더 많이 나는 현상은 일반적인 경험이며, 개인차가 아닙니다. 이는 인체의 열 조절 메커니즘과 관련이 있습니다. 습도가 높으면 공기 중 수분이 많아 땀이 쉽게 증발하지 못합니다. 땀의 증발은 체열을 식히는 주요 방법인데, 이 과정이 방해받으면 체온 조절이 어려워집니다. 결과적으로 몸은 더 많은 땀을 분비하여 체온을 낮추려 하지만, 증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불쾌감이 증가하고 체감 온도가 높아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습도가 높은 날에는 실제 기온보다 더 덥게 느껴지고 땀이 많이 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