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대 실비보험료가 많이 오르면 4세대로 갈아타는게 더 이득인가요
3세대 실비보험료가 많이 오르면 4세대로 갈아타는게 더 이득인가요?
4세대 경우 다른 해마다 갱신되고
혜택도 3세대보다 적은데 뭐가 더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3세대 실비보험에서 4세대로 전환하는 것이 이득인지 여부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의료 이용 패턴에 따라 달라집니다. 4세대 실비보험은 보험료가 저렴하지만 비급여에 대한 공제금액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병원을 자주 가시는 경우 3세대가 유리할 수 있으며 반대로 병원 이용이 적다면 4세대로 전환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보험료 인상이 부담스럽다면 4세대로 갈아타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손보험의 경우 보험료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비급여에 대한 청구가 갱신시 보험료 상승 정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보험금 청구가 많으면 보험료 부담이 커질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비교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3세대실비는 만기가 되면 재가입때는 그시점의 가입 가능한 실비로 재가입이 됩니다 3세대의 만기는 15년만기라서 가입시점부터 15년째 되는 시점에는 자동으로 전환이 됩니다4세대실비는 5년만기 입니다 모두 재가입때는 그시점실비로 재가입 됩니다 감안해서 그래도 보험료 부담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면전환을 하면 됩니다 보장은 차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을 자주 다니시는것이 아니라면 4세대로 전환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전 세대들이 자기부담금이 더 적어서 좋다고 생각하시지만 병원을 자주 가시지 않는다면 전환하여 보험료를 줄이시는것이 더 비용지출에 효율적입니다.
3세대의 경우에도 만기, 재가입 주기가 15년이지 갱신은 매년 됩니다.
병원을 자주가시지 않는 경우 매년 비싼 보험료를 납부하다가 병원갈때 한번씩 본인부담금을 적게 받는것보다 저렴하게 유지하시다 본인부담금을 조금더 공제하는 것이 더 적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 측면에서는 분명 3세대보다 이득이지만, 4세대 실손의료비는 기본 공제금액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병원을 자주가서 청구건이 좀 생기신다면 전환하는 것이 불리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3세대가 유리할 지 4세대로 전환해야할지는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평소에 병원을 자주 간 경우에는 3세대가 유리하며 건강하다면 4세대가 유리합니다.
3세대실손 가입 15년 후에는 4세대판매중이면 4세대로 재가입이며 5세대판매중이면 5세대로 재가입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손보험은 집단별 성별, 연령별로 손해율을 계산해서 할인 할증하는 1세대~3세대 손해보험과는 달리 비급여 차등제를 실시해서 직전 1년간 비급여 보험금지급액이 0원인 경우에는 10% 할인을 하고 99만원 정도로 사용하면 보험료를 유지하고 100만원 이상 ~150만원 미만이면 100%인상, 150만원 이상 ~ 300만원 미만이면 200% 인상, 5단계면 300만원 이상 300%인상 된다는 점을 감안하고 잘 활용할 경우 할인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4세대 전환시에는 보장범위, 비급여 수령액에 따른 차등 부과 여부, 건강상태, 의료 이용 성향 등을 충분히 살펴봐야 합니다. 질문자님께서 비급여 의료서비스 이용이 적은 경우라면 4세대 전환이 유리하겠습니다.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는 중증환자는 4세대가 유리하고 경증질환으로 잦은 비급여 치료가 필요하다면 유지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만일에 질문자님처럼 보험료 인상으로 지급하기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면 4세대 전환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