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리나라 gdp가 2018년기준 전세계10위였는데 지금은 13위 14위라고 하네요? 작년 2023년 기준

우리나라 gdp가 2018년기준 전세계10위였는데 지금은 13위 14위라고 하네요? 작년 2023년 기준

전세계가 다 어렵다고 하는데 왜 우리가 이렇게 떨어졌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멕시코의 경제 규모가 한국을 앞서며 한국의 순위가 내려앉았습니다. 멕시코의 지난해 명목 GDP는 1조7889억 달러로 2022년(1조4633억 달러)보다 22.3% 넘게 증가하며 12위까지 올라섰습니다. 2022년에는 한국이 13위, 멕시코가 14위였습니다. 한은에 따르면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2022년 2.6%에서 지난해 1.4%로 1.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지난해 한국과 멕시코의 GDP 순위가 뒤바뀐 요인을 분석해보면 한국보다 멕시코 측 영향이 컸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 패권 전쟁이 격화하면서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이 멕시코에 공장을 세우는 ‘니어쇼어링’ 투자에 나섰다는 것입니다. 멕시코의 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 규모는 361억달러로 2022년보다 2.2% 증가했습니다. 한국의 성장세는 둔화하는 추세입니다. 한은이 집계한 작년 실질GDP 증가율은 1.4%에 그쳤습니다. IMF는 한국 경제 성장을 2.5%까지 보면서 지난해보다는 긍정적인 전망을 밝혔으나, 특정 분야에 의존하는 경직된 산업구조에서 구조개혁 없이는 GDP 추가 하락을 피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1. 상대적 성장 둔화:

      •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둔화되었습니다.

      •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기 회복 속도가 더딘 편이었습니다.

    2. 환율 변동:

      • 미국 달러화 강세로 인해 원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약화되었습니다.

      • 이에 따라 달러 기준 GDP 규모가 줄어들어 순위 하락의 요인이 되었습니다.

    3. 물가 상승:

      • 최근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물가도 크게 상승했습니다.

      • 이에 따라 실질 GDP 성장률이 둔화되어 순위 하락의 요인이 되었습니다.

  •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GDP 순위가 계속 떨어져서 14위로 밀린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상당 부분 수출이 하락하였고

    내수도 매우 부진하였기 때문에

    GDP의 순위가 10위에서 14위까지로 내려가게 된 것입니다.

  • 중국무역으로 원래 가장 많은 무역흑자를 냈었으나 정부정책방향이 반공으로 간 부분도 있고요

    애초에 소수의 대기업에게 만 특혜를 줘서 돈벌게 하던 것이 흔들리는 것으로 보이는 부분입니다

  • 한국의 경우 수출 중심적 국가이고, 내수 비율이 절대적으로 낮습니다. 우리나라 주요 수출국인 중국 경제가 안좋아서 수출이 많이 줄었습니다. 그래서 영향을 받았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