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엄청난숲새274
엄청난숲새27422.03.24

처방받은 약들 같이 복용해도 되나요?

얼마전 잔뇨감이 있고 몸이 안좋아 비뇨기과에서 처방받았는데요.

약을 먹어도 계속 몸살기운이 있어서 가정의학과에 가서 비뇨기과에서 처방받아온 약을 의사선생님께 보여드린후 처방을 받아왔습니다.

그런데 같은 성분의 약이 있더라구요.

같이 복용해도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겹치는 성분이 있다면 제외하고 복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스트렙토키나제 성분의 소염제가 겹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하나는 빼고 나머지는 다 드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소염효소제가 겹쳐서 걱정이 되시는 군요.

    두자기 약의 소염효소제라는 분류명은 같지만

    성분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병용에 크게 지장이 될 것은 없습니다.

    같이 드셔도 무관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문의 주신 두가지 약의 경우 동일한 성분이 있지는 않으나 메로타제정과 스레토정은 소염제로 역할이 겹치기에 두가지중 한가지만 복용해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계속 몸살기운이 있어서 가정의학과에 가서 비뇨기과에서 처방받아온 약을 의사선생님께 보여드린후 처방을 받아왔습니다. 그런데 같은 성분의 약이 있더라구요. 같이 복용해도 되는건가요?

    예 두 가지가 겹치니 아래 처방에서 록펜정만 위 비뇨기과 약과 같이 드세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두가지 처방약 성분이 겹치지 않으므로 같이 복용하셔도됩니다.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들은 있지만 굳이 빼고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메로타제장용정 ↔ 스레토정

    유틸린정 ↔ 모사렌정

    위 약들이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문의주신 약에는 같은 성분의 약이 없고 ,일반적으로 상호작용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해당 약 같이 먹어도 무방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인배 약사입니다.

    사진상으로 보이는 두 곳에서 받은 약중에 성분이 겹치거나 같이 복용해서는 안되는 약은 보이지 않아 함께 복용하셔도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현재 비뇨기과 약과 몸살감기약 성분 중 소염효소제 1종류씩이 포함되어 있으나, 서로 다른 성분의 소염효소제이므로 중복하여 복용하여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메로타제장용정<브로멜라인 100mg>

    스레토정<스트렙토키나제-스트렙토도르나제 10mg>

    같은 효능군으로 묶여있는 의약품이지만 작용기전이 완전 동일하지 않아 같이 복용하실 수 있는 성분입니다.

    처방약을 보고 처방하셨다고 하셨으니,

    질문자분께서 소염효소제가 더 많이 필요하다는 소견이 있던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같은 성분의 약은 없고 비슷한 효과를 내는 약이 있습니다. 같이 드셔도 무방할듯보이며 모두 식후에 드시면됩니다. 비뇨기과약에는 항생제가 들어있으니 끝까지 복용해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같이 드셔도 됩니다.

    소염효소제때문에 그러신듯한데 성분자체는 다릅니다.

    효능 자체는 비슷해서 정 찝찝하시면 두 소염효소제중 둘중 하나만 드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네 같이복용 가능합니다. 소염효소제를 겹친다고 하신 것 같은데 소염효소제는 큰 부작용 없이 사용이 가능해서 한 선생님이 2개 처방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로 항생제 드시는데 모사렌정이 들어가 있어서 말씀드리면 같이 드실 수 있지만 혹시 항생제 드시고 설사하거나 배아프시면 모사렌은 빼세요. 위장운동 촉진시켜 설사가 더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