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용감한나방218
용감한나방218

수생식물의 뿌리도 육상식물의 뿌리처럼 삼투현상이 일어나나요?

수생식물의 뿌리도 육상식물의 뿌리처럼 삼투현상이 일어나나요? 수생식물의 줄기에도 물관체관이 구분되나요? 육상식물처럼 형성층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수생식물의 뿌리도 육상식물의 뿌리처럼 삼투현상(osmosis)이 일어납니다. 삼투현상은 수분 및 용질의 농도 차이에 의해 물이 반투과성 막을 통해 이동하는 현상으로, 이는 모든 식물에서 기본적인 물 흡수 과정입니다. 수생식물도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삼투현상을 이용하며 이 과정은 육상식물과 유사하게 작용합니다.
    수생식물의 줄기에도 물관(xylem)과 체관(phloem)이 구분됩니다. 물관은 물과 무기질을 뿌리에서부터 잎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체관은 광합성 산물인 유기물을 잎에서부터 다른 부분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관다발 조직은 수생식물에서도 존재하며 물과 영양분의 이동을 담당합니다.
    형성층(cambium)은 육상식물의 줄기와 뿌리에서 관찰되며 2차 성장을 통해 식물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많은 수생식물에서는 형성층이 덜 발달되어 있거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수생식물이 부피 성장이 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수생 환경에서는 물의 부력으로 인해 구조적인 지지 필요성ㅇ ㅣ적어지기 때문에 형성층의 발달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수중식물'은 식물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물 속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총칭으로 물이라는 단일 환경 속에서 생육하므로, 뿌리, 줄기, 잎, 꽃, 눈 등의 형태가 수중생활에 적응하여 뚜렷히 변형되어 있습니다. 주로 물 속이나 물가에 서식하며 식물체의 일부나 전부가 물 속에 잠겨 있으며 식물체의 줄기나 뿌리, 또는 잎에 공기를 함유하는 통도조직을 갖는 관다발 식물입니다. 삼투현상은 수생식물의 뿌리에서도 일어나는데요, 수생식물은 물 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물과 용질이 세포막을 통해 이동하는 과정이 뿌리세포에서 일어납니다. 또한 관다발 식물인 만큼, 수생식물의 줄기에도 물관과 체관이 존재합니다. 물관은 물과 무기질을 뿌리에서 잎으로 운반하고, 체관은 광합성 산물을 분포시킵니다. 마지막으로 형성층은 대부분의 육상식물에서 물관과 체관 사이에 있는 세포층으로, 2차 성장(굵어짐)을 담당하는데요, 수생식물에도 형성층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일부 수생식물은 물속 환경에 적응하면서 2차 성장이 덜 중요해졌기 때문에 형성층이 퇴화하거나 단순화된 경우가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수생식물의 구조도 육상식물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뿌리에서의 삼투현상도 일어나고, 물관 체관이 존재합니다. 

    다만, 물관의 경우는 육상식물에 비해 작고 덜 발달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물속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물관의 목질화가 덜 일어나 줄기가 유연하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체관의 경우, 육상식물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중환경에 잘 적응한 형태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수중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특징으로 염분저항성을 가지고 있기도하고, 통기조직이 발달되어 있기도 합니다. 

  • 수생식물의 뿌리도 육상식물처럼 삼투현상이 일어나 물과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수생식물의 줄기에도 물관과 체관이 구분되며, 육상식물처럼 형성층을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수생식물이 물속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영양분을 이동시키고 성장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네, 수생식물의 뿌리에서도 육상식물의 뿌리처럼 삼투현상이 일어납니다. 다만, 주변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 과정과 흡수하는 물질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육상식물의 뿌리에서의 삼투현상을 보면 뿌리털을 통해 물과 무기염류를 흡수하고 뿌리 세포액의 농도가 흙 속의 물보다 높기 때문에 삼투압에 의해 물이 뿌리털 세포 안으로 이동합니다.

    하지만 수생식물의 뿌리에서의 삼투현상을 보면 일부 수생식물은 뿌리털이 퇴화되거나 적게 발달하기도 하며 삼투압은 물속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즉 물속의 농도가 뿌리 세포액의 농도보다 낮을 경우, 삼투압에 의해 물이 뿌리 세포 안으로 이동하고 뿌리에서 직접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도 하며 물속에 녹아있는 양분을 직접 흡수하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물관과 체관 물관은 모두 존재하며 물관은 물과 무기염류를, 체관은 유기물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육상식물과 기본적인 기능은 동일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수생식물은 육상식물처럼 두껍게 자라는 목질부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형성층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수생식물의 뿌리는 육상식물의 뿌리와는 조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생식물의 뿌리는 물 속에서 산소와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발달되어 있어서 물 속에서 뿌리가 자유롭게 떠다닙니다. 따라서 수생식물의 뿌리는 육상식물의 뿌리처럼 삼투현상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수생식물의 뿌리는 육상식물의 뿌리와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생식물의 뿌리는 삼투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신, 수생식물의 뿌리는 물 속에서 영양분을 흡수하고 수분을 흡수하는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또한, 수생식물의 줄기에는 종종 물관체관이 발달해 수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물관체관은 물을 흡수하고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