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12.19

친구들을 너무 좋아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초등학교를 다니면서 친구들과 붙어다니는 시간도 많고 그리고 자아도 점점 커지면서 친구들을 너무 따라가는 성향이 보이는데요.

이건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생 자녀분이 친구를 좋아하고 같이 다니는 것은

    사회성이 발달 되었고 성장을 잘 하고 있는 것입니다.

    친구가 문제아가 아니면 친하게 지내도록 두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부모님도 그렇지만 친구들과 교류를 하면서 큽니다. 친구들과 잘보내는것은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친구들을 따라가는 성향일 때 부모는 개별적인 자아 발전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립적인 결정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아이에게 모든 사람들의 생각이 다르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해요. 우유부단한 성격이라면 평소에 사소한 것에서부터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하고 친구의 의견을 무조건 따른다고 좋은 친구나 친한 친구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땐친구를좋아할때이며

    너무따라간다고부모는느낄수있으나 아이는아닐수있답니다

    우선아이가 이런관계에불편함이없는지 부터체크해보시고

    없다면문제될건없겠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자존감을 가지고 자신이 주가 되어

    판단하여야지 친구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안된다고 해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생이되면 가족적인 울타리에서 친구라는 울타리로 확장될수있기에

    너무 걱정할것은 아닙니다

    다만 위험하거나 도움이 필요한순간 그리고 걱정되는 것들에 대해서는 부모에게 미리 이야기하도록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친구들과 잘 지내는 모습이 보이면,일단을 지켜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의 친구 관계에 대해서 부모가 간섭을 하게 되면 아이는 스트레스가 됩니다

    아이가 소심한 부분이 심하게 느껴지시면, 스피치 학원도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친구를 좋아하고 친구와 서로 잘 지내는 모습에 대해서는 아낌 없는 칭찬을 해주셔야 합니다

    하지만 친구들을 따라다닌다고 해서 아이의 자존감이 낮다고 생각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이가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의 의견을 충분히 말할 수 있도록, 강해질 수 있도록 평소에 가정에서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주시고, 늘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자연스런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게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또래 아이들과 어울리고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은 나쁜

    행동이 아닌 자연스러운 사회화 과정 중 하나입니다. 이를 제한하시는것보다

    또래 아이들의 행동을 무분별하게 답습하지 않도록 사전에 교육해주시는 것

    정도로 지도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0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에는 가족보다 오히려 또래관계가 정립되는 시기입니다. 일단 지켜보는게 좋을거 같아요. 오히려 친구를 사귀지 못하거나 혼자있는 아이들보다는 또래집단에 소속되고 싶어하는 자연스러운 욕구에서 나오는거라 걱정 안하셔도 될거 같아요. 지나칠정도로 시간관념을 잊거나 밥을 먹지 않거나 부모와의 약속을 어기면서 친구들과 어울리게 되면 그때 제재를 해주는게 좋을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도 좋지만 그 전에 자신이 할 일은 다하는 것, 자신의 소신은 있어야 한다 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친구들에게 휩쓸리지 말고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해야 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도 알려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에는 친구들의 여러 장점과 단점을 동시 다발적으로 흡수하며 자신의 자아를 형성해나가는 시기입니다. 친구들에게 동화되는 것이 어찌보면 당연한 시기이므로 걱정하지 마시되 올바른 가치관을 중심으로 자아를 형성할 수 있게 그 중심을 잘 잡아주시기 바랍니다.

    아이 머리가 더 굵어지기 전에 아이와의 소통을 통해 신뢰를 형성하시고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배워오면 그에 관해서 대화로 부드럽게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