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배부른천인조235
배부른천인조23523.06.18

음식물을 자기 방에 숨겨놓고 썩히는 아이,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초등학교 6학년 남자아이입니다.

평소에도 물건 잘 잃어버리고, 학교 준비물이나 해야할것 자주 깜박하고 놓치고 주변 정리를 잘 못합니다.


몇일 전에 먹다 남은 떡볶이를 그대로 자기방 구석에 숨겨놔서, 이상한 냄새가 나고 날파리가 꼬이길래 찾아내어 따끔하게 혼을 냈는데요.


그대로 방치한게 너무 어이없고 화가나서 앞으로 음식물은 절대 그러면 안된다.. 벌레 생기고 위생이 좋지않다고 충분히 훈육을 했는데..


몇일 지나지 않아 오늘 또 사과를 서랍속에 넣아놔서 시커멓게 곰팡이가 피어져 있는걸 발견 했습니다.

아침에 먹으라고 깍아준걸 먹기 싫어서 먹었다고 거짓말 하고 서랍에 숨겨 놨더라구요.


몇번 몰래 라면도 끓여먹고 안먹은척 거짓말 하길래 혼내지 않을 테니 거짓말 하지 말고 먹고 싶으면 허락을 받고 먹어라, 누누히 얘기 하는데 그때그때 상황에서 충동적인 판단으로 행동을 하고 본인도 그걸 잊어버려서 결국 혼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혼이 나면 눈물을 흘리면서 자기도 왜 그랬는지 모르

겠다며 반성하는 표정을 짓고, 다시는 안그러겠다 하고나서, 탄력회복성이 좋아서인지 금방 감정 추스리고 평소처럼 엄청 밝게 아무일도 없었던것 처럼 행동 합니다.


사실 이러한 문제점만 없다면 예의도 바르고 공부도 열심히 하고 애교도 많고, 밝고 착해서 주변에서도 칭찬을 많이 받습니다.

다만 주변정리를 못하고, 충동적인 행동과 그것을 잊어버리는 문제가 계속 반복되니 단순히 훈육하며 타이르는것으로는 고쳐지지가 않아 심리치료를 받아야하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방법을 찾아야 할지 고민이 되어 문의를 남깁니다.


부디 현명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은 아이가 음식을 과도하게 집착적으로 숨긴다면 심리적인 부분 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불안감이 큰 아이들에게서 주로 나타납니다.

    부모나 주변 사람들에게 사랑과 인정을 충분히 받지 못할 때, 엄마.아빠가 떠날 것 같은 불안감을 느낄 떼 특정 물건이나 음식에 집착하고 숨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리적 요인으로 물건을 숨긴다면 단순히 지적하고 혼낸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불안요소가 무엇인지 먼저 살피고 이를 하나씩 제거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행동이 나아지지 않는다 라면 병원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물건을 잘 잃어 버리는 아이들의 성향이 대부분

    정리정돈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이 자신의 방, 책상과, 가방 안을 습관적으로 정리를 하도록 지도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정리정돈도 습관이랍니다.

    아이가 매일 학교다녀와서 씻고, 간식을 먹을 땐, 항상 식탁에 앉아서 먹기, 자신의 방에선 먹지 않기, 등 아이와 약속을 정하고 매일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하루에 정리를 하는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시길 바래요

    그리고 치료보다는 생활습관 교정을 하여서

    충분히 시간을 가진다면 이겨낼 수 있을 꺼에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위생 관념을 심어 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남은 음식물은 바로 버릴 수 있게 지도를 하십시요.

    안 보이는 곳에 놔두면 음식이 썩어서 악취도 나고, 몸에도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절대 남은 음식에 안 보이는 곳에 놔두는 습관은 없애 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9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지속적으로 한다면 거짓말을 하는 행위은 다른 사람을 속이는 것이기 때문에 하면 안된다고 이야가하고 위축되면 회피허기 위해서 거짓말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아이가 실수를 했을 때 허용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