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궤양 치료할 때 무슨약을 먹어야 효과가 있나요?
소염진통제 장기간 복용에 따른 위궤양이 의심되어서 위내시경을 할 예정입니다 지금은 내과에서 위궤양 정장제 소화성궤양 치료제만 처방받아 복용하고 있는데 약을 먹어도 효과가 적은거 같아요 그럼
헬리코박터균으로 인한 위궤양인걸까요? 헬리코박터균은 항생제를 먹어야 한다고 들어서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자분의 상황을 잘 이해하였습니다. 위궤양은 흔히 소염진통제의 장기간 복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주로 프로톤펌프억제제(PPI)나 H2 수용체 차단제와 같은 약물을 통해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치료합니다.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의 효과가 적다고 느껴지신다면,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의 종류나 용량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궤양의 또 다른 흔한 원인입니다. 이 균에 감염된 경우에는 항생제와 위산분비억제제를 병용하여 치료합니다. 헬리코박터균 감염 여부는 위내시경을 통해 조직 검사를 하거나 호흡 검사, 혈액 검사 등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내시경을 통한 검사를 통해 위궤양의 원인을 명확히 하시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위궤양 치료에는 주로 양성자 펌프 억제제, H2 수용체 길항제, 제산제 등의 약물이 사용됩니다. 헬리코박터균 감염은 위내시경으로 확인하고 나서 제균치료를 실시합니다. 일반적으로 양성자펌프억제제, 항생제로 치료합니다. 내시경 결과에 따라 진단 및 치료계획이 수립될 것이므로 검사결과를 기다려 지시에 따라 치료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소염진통제를 장기간 복용하면 위점막에 자극을 주어 위궤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헬리코박터균에 의한 위궤양일 수도 있어, 내시경을 통해 위염의 원인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헬리코박터균이 원인이라면 항생제와 위산 억제제를 병행하여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