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훈구파와 사림파는 왜 갈등을 겪었는지 궁금합니다.
우리가 살고있는 지금 현시대에도 정치적 이념적으로 서로 차이가 있는 사람들은 갈등이 끊이질 않고있습니다. 조선시대 훈구파와 사림파는 왜 갈등을 겪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조가 왕위에 오르는 데 공을 세우고 권력을 잡은 훈구파는 많은 땅과 노비를 거느리고 부를 쌓았습니다. 사림은 이를 비판하며 훈구파와 대립하게 되었습니다.
세조는 조카인 단종을 내쫓고 왕이 되었습니다. 이 때 많은 신하들이 세조를 도왔으며, 세조는 왕위에 오르자 자신을 도와 준 이들을 공신으로 명하고, 많은 땅과 노비를 주었습니다. 이 공신들을 훈구파라고 합니다.
훈구파들은 큰 힘과 많은 재물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더 많은 욕심을 부렸습니다.그러자 훈구파의 잘못을 나무라는 세력이 생겨났습니다. 사림파로 불리는 그들은 주로 사헌부나 사간원 등에서 일하던 학자들이었습니다. 본래 사헌부, 사간원은 왕이나 신하가 한 일의 잘잘못을 따져 보는 곳이었지요.
사림파와 훈구파는 성종을 거쳐 연산군에 이르러서는 얼굴만 마주쳐도 으르렁거릴 정도로 사이가 나빠졌습니다.
출처 - 지식백과 훈구파와 사림파의 새로운 힘겨루기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권, 신권의 대립에서 잉태했던 조선사회의 갈등은 훈구파, 사림파의 갈등으로 이어졌는데 당시 세조의 정권을 탈취로 기인되었습니다.
발단은 이극돈, 김일손 두 개인 사이의 갈등이었지만 배후는 복잡했는데 이극돈은 수양대군의 즉위를 계기로 등장한 훈구파의 일원이었고, 김일손은 훈구파의 정치 행위에 극도의 불신감을 가진 사림파였기 때문입니다.
구세력인 집권 훈구와 신세력인 신진 사람의 대립이었는데 양자의 가장 큰 차이는 세조의 즉위를 바라보는 시삭으로 이극돈이 유자광을 끌어들이고 유자광이 다시 노사신, 윤필상, 한치영, 신수근 등을 끌어들일수 있었던 것은 훈구세력들의 세계관이 같아 가능했던 것입니다.
사림파는 세조 체제를 부정하는 대역죄로 몰아 세조의 즉위 자체를 부인하려는 세계관을 가지고있었습니다.
결국 김종직의 조의제문으로 이어져 연산군, 훈구파는 이미 죽은 김종직의 관을 꺼내 시신의 목을 자르는 부관참시를 행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급진개혁파는 정도전,조준과 같은 신진사대부들로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세운 개국공신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이 조선초기에 훈구파로 이어지죠. 즉, 훈구파의 전신이 고려말 급진 개혁파라고 보면 됩니다.
신진사대부는 고려후기 기존의 지배 세력인 권문세족에 대항하여 등장한 새로운 세력을 말합니다.
신진사대부는 유교적 교양을 기본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관리가 된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이들은 고려말 권문세족과 불교의 비리를 비판하였고, 공민왕의 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신진사대부는 고려시대에 각 지방에서 과거를 통해 중앙정계에 진출하였는데 기본적으로 과거는 유교경전을 바탕으로 시험을 치게 됩니다. 당시 고려는 송나라의 주자학이 고려에 넘어와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즉, 성리학적 사상은 군신유의, 부자유친, 부부유별 등 사람의 도리와 위아래의 질서를 기본으로 하는 사상이였고 왕권회복을 꿈꾸던 공민왕은 이들 신진사대부들과 힘을 합쳐 왕권을 농락하는 권문세력들과 맞서게 됩니다. 이와중에 고려왕실을 보존하면서 개혁을 하자는 온건파와 아예 새로운 왕조를 세워야 한다는 급진개혁파로 나뉘게 됩니다. 온건파의 대표자는 이색과 정몽주이고 이들이 훗날 조선시대 사림파에게 영향을 주게 되고 급진개혁파로는 정도전과 조준 등이 있습니다. 이 때 군의 실력자로 부상한 이성계가 정도전 등의 급진개혁파와 결탁하면서 위화도 회군을 감행해서 결국 온건파를 누르고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하게 됩니다 건국의 주역인 급진파는 연산군시대까지 정권을 장악한 훈구파의 원류라 보시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림은 중앙 정계에서 점차 세력을 넓혀나갔다. 이들은 성리학의 이념에 입각하여사회 개혁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개혁은 기성 정치 세력인 훈구파의 반발을 샀으며, 현실 사회에 맞지 않아 실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이 때문에 사림의 개혁은 일반 민중으로부터도 지지를 충분히받지 못했다.
사림의 등장과 확대는 기존의 정치 세력인훈구파와 갈등을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갈등은 ‘사화’라고 불리는 정치적 비극으로 발전하였다. 연산군 때부터 명종 때까지 네 차례나 커다란 사화4)가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대체로 피해를 본 것은 사림파로서, 조정의 주요 관직에 진출한 많은 사림들이 죽거나 귀양을 가는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 축출당한 사림파는 다시 힘을 키워 중앙으로 진출하였다. 향촌 사회에 뿌리를 두고 있던 사림 세력은 정치 세력을 꾸준히 넓힌 반면, 훈구 세력의 영향력은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점차 사림파가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출처:우리역사넷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