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마루코스
마루코스23.04.10

비가오면 왜 바람이 부는 건가요?

보통 비가 올때면 잔잔하게 내리지 않고, 바람이 몹시 심하게 부는데, 이건 비가 바람을 부르는 건가요?

아니면 바람이 비를 부르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올때는 대기중에 수분이 많아져 공기의 밀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주변 대기와의 기압차가 커져 바람이 불게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은 대기를 움직이는 원인 중 하나로, 고기압과 저기압이 만나면 바람이 생기고, 이 바람이 구름을 밀어서 구름이 충돌하면 비가 내리게 됩니다. 또한 바람이 강할수록 구름이 빠르게 움직여서 비가 더욱 강하게 내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하고는 관계없어요

    바람은 공기의 움직임이에요. 우리가 사는 지구는 공기로 둘러싸여 있지요. 이 공기들이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바람이 부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면 바람이 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비는 공기가 상승하여 차가운 고기압 지역에서 따뜻한 저기압 지역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기압 차이로 인해 공기가 상승하고, 비를 형성하는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리고 구름 안에 있는 물방울이 충분히 커지면 지면으로 떨어져 비가 내리게 됩니다.


    비는 구름이 움켜잡고 있는 수증기를 떨어뜨리는 과정인데, 이때 구름 안의 공기는 비의 중량에 의해 더욱 무겁게 되어 상승 공기의 흐름이 강화됩니다. 이에 따라 차가운 고기압 지역에서 따뜻한 저기압 지역으로 공기가 빠르게 흘러가게 되고, 이 공기의 흐름이 바람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비가 오면 바람이 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또한, 지형적인 요인이나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도 비와 바람의 관계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산악 지역이나 해안선과 같이 지형이 복잡한 지역에서는 지형에 의한 지역 풍향이 비와 바람의 발생과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지구상의 다양한 지역에서 비와 바람의 발생 원리는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비가 오면 바람이 부는 현상이 일어난다는 것은 비교적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린다는 것은 결국 하늘에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층이 쌓여 구름이 많이 덮혀져 있다는 것인데..

    그러면..이 구름으로인한 대기권에 구름층이 형성되고 그로 인한 대기압의 변화가 일어나며...또 그로인한 공기의 흐름 즉, 바람이 일게 됩니다.

    이런 대기환경의 변화는 비가 오던 안 오던 늘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비가 온다는 것은 대기층의 압력 변화가 그만큼 맑은 날보다 더 심하게 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궂이 순서를 얘기하자만...지상의 수분이 증발=> 하늘에 구름이 형성 => 구름속 포화수증기 집단화 => 비 내림...이런 순환인데..

    결국..포화수증기가 모이는 위치에 따라 대기압의 차이가 발생하니..비와 바람은 거의 유사한 시점에 동시에 발생한다고 보여지지만

    꼭 바람을 동반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비는 공기의 수증기와 함께 지면에서 수증기가 높은 곳으로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상승 과정에서 공기는 확장되고 가열되면서 경보와 같은 낮은 압력을 생성합니다. 그 결과, 주변 공기가 높은 압력에서 낮은 압력으로 이동하려고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이동이 바람을 일으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내리면서 공기와 지면이 냉각되고 이렇게 발생한 주변지역과의 온도차로 인해 대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비가 바람을 부르는 것며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비 오는 지역에서는 본래보다 바람이 더욱 강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많이 올 때는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아지기 때문에 공기의 밀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주변 대기와의 압력 차이가 커져 바람이 불게 됩니다. 또한, 비가 내리면 지표면이 습하게 되고 이때 증발하는 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대기 중 수증기의 농도가 더욱 높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하여 비가 올 때 바람이 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와 바람은 항상 동반해서 같이 오는관계는 아닙니다.


    가랑비나 이슬비처럼 봄철에 내리는 비는 바람없이 잔잔하게 내리는 정도이구요, 태풍에 의한 비처럼 대기가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비와 바람이 동반되어 내릴 수 있습니다.


    대기상황에 따라 바람을 동반하고 안하고가 결정된다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