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미국증시의 조정론 목소리가 커진 이유가 뭘까요?

전일에 미국증시가 전반적으로 많이 하락했더군요. 그러면서 조정론의 목소리가 커진 거 같은데 이렇게 조정론 목소리가 커진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그 이유는 미국이 워낙 오랜기간 상승을 해오다가 PMI지표도 2년만에 꺾였고 물가가 더 오르고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는 멀었기 때문에 조정이 나타날 수 있을 전망입니다.

    • 조정이 일어나게 되면 폭락이 아닌 일시적인 기간,가격 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한 해동안 , 그리고 최근 몇년사이에 평가이상으로 상승했다라는 의견들이 있기는 했습니다

    욕망지수인가도 낮지않고 80정도로 알고 있고요 최근 불확실성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수군거리는거지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어제(2025년 2월 20일) 미국 증시가 전반적으로 큰 폭의 하락을 겪은 것은 사실이며, 이로 인해 조정론(시장 조정이 임박했다는 주장)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정론이 부각되는 이유는 여러 경제적,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현재 시점(2025년 2월 21일)에서 이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은 주요 이유들을 꼽을 수 있습니다.

    첫째, 소비심리 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소비자심리지수가 예상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는 소식이 시장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소비는 미국 경제의 핵심 동력인데, 소비심리가 나빠지면 기업 매출과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가 낮아지며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신호로 작용합니다. 특히 민주당 지지층의 소비심리 악화가 두드러졌다는 이야기가 있다면, 이는 정치적 불확실성이나 정책 변화에 대한 반응일 수 있습니다.

    둘째,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만약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최근 크게 상승했다면, 이는 물가 상승 압력이 시장 예상보다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이는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를 늦추거나, 오히려 금리 인상을 고려할 가능성을 열어두게 만들어 투자자들의 불안을 키웁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예를 들어 고율 관세나 감세 공약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이러한 불확실성을 더했을 것입니다.

    셋째,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경고가 투자 심리를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일부 주요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관세 인상), 이민 단속 강화, 연방지출 삭감 등이 경제에 부담을 줄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책들이 실제로 시행되면 기업 비용 증가와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주식 시장에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넷째, 주요 기술주(M7: 엔비디아, 테슬라 등)의 급락이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최근 몇 년간 증시 상승을 이끌어온 주역이었는데, 4% 이상 하락했다면 이는 과열에 대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AI 붐이나 기술주 중심의 랠리가 지속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섰을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부동산 경기 둔화와 같은 실물 경제 지표의 약화도 조정론에 힘을 보탭니다. 높은 금리 환경이 지속되며 주택 수요가 줄고, 이는 관련 산업과 소비 지출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이런 신호들이 쌓이면 시장은 과매수 상태에서 조정 국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높게 봅니다.

    결론적으로, 조정론 목소리가 커진 이유는 소비심리 악화, 인플레이션 불안, 경제 성장 둔화 우려, 기술주 하락, 그리고 실물 경제 지표 약화가 맞물린 결과로 보입니다. 여기에 트럼프 2기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해지며 투자자들이 방어적으로 변한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다만, 이는 단기적인 시장 반응일 가능성도 있어, 향후 경제 지표와 정책 발표를 지켜봐야 더 명확한 방향이 드러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그이유는 작년 하반기부터 미국증시가 밸류에이션 부담이 매우 높았기 때문입니다

    이미 S&P500지수가 역사적 상단을 초과하는 PER24배가까운 수준으로 올라갓었습니다 이때부터 증시 하락론이 서서히 무게를 기울였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올해 연준의 가이던스가 기준금리 4번인하에서 1번에사 2번으로 바뀌었으며 국채10년물도 지속오르면서 이부분이 중점이 되어 증시의 하락이 이어진것으로 보입니다 어제도 경제지표호조와 물가가 상승하면서 기준금리 상승 부담이 커지며 조정세를 보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난 2년 동안 이어진 증시 강세장 때문에 올해 증시가 예상보다 큰 규모의 조정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조정론이 점점 힘을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