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잠에서 자주 깹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밤에 잠을 자면 꼭 새벽에 자주 깹니다.
이것도 불면증의 일종인가요? 그래서 인지 자주 피곤하고 합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건강에는 이상이 없는지 무슨 큰병이 있는지 걱정이 될때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잠이 드는 것이 어려운 경우 뿐만 아니라 잠이 자주깨고 수면을 유지하기 어려운 것 또한 불면증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 불면증의 치료방법에는 약물을 통한 치료와 비약물적 치료로 나눌 수 있으며 - 비약물적 치료 단독으로 실천하거나 약물치료와 함께 병행할 수 있습니다. - 다음의 비약물적 치료법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해 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1. 수면 위생 개선 - 1) 다음날 피곤하지 않을 정도만 주무십시오.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을 줄이면 수면의 질이 높아질 수 있으나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이 너무 길면 잠이 얕아지고 자주 깨게 됩니다. - 2) 아침에 규칙적인 시간에 일어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밤에 잠드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만드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 3) 매일 적당량의 운동을 지속하는 것은 잠을 잘 자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어쩌다 한 번 운동을 열심 - 히 했다고 해서 잠을 자는데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 4) 자는 동안 심한 소음은 잠을 방해하기 때문에 조용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 5) 침실이 너무 더우면 잠을 방해합니다. 너무 추운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침실에 덥거나 춥지 않도록 온도를 유지하십시오. - 6) 배가 고프면 잠에 방해가 됩니다. 우유나 스낵과 같은 간단한 음식을 드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7) 일시적인 수면제는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인 수면제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8) 저녁에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를 마시는 것은 잠을 방해합니다. - 9) 술은 잠을 빠르게 들게는 하지만 중간에 자주 깨도록 만듭니다. - 10) 잠에 들기 위해 너무 애를 쓰지 마십시오. 잠이 오지 않고 긴장이 되고 힘들 때에는 너무 환하지 않게 불을 켜고 독서를 하거나 음악을 듣는 것이 수면에 도움이 됩니다. - 2. 수면제한법 - 1) 자신이 원하는 기상시간을 정하십시오. - 2) 몇 시간 정도를 자면 만족할지를 생각해 보십시오. - 3) 이를 바탕으로 취침시간을 정하십시오. - 4) 수면효율이 85% 이하라면 잠자리에 누워 있는 시간을 15분씩 줄이십시오. - 5) 수면효율이 90% 이상에 도달하면 잠자리에 누워 있는 시간을 15분씩 늘리십시오 - 3. 자극조절 - 1) 졸릴 때에만 자리에 누우십시오. - 2) 잠이 오지 않으면 10분 내지 15분 정도 후에 다시 일어나십시오. - 3) 거실에 앉아서 스탠드만 켜 놓고 책을 읽거나 TV를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하십시오. - 4) 졸리면 다시 잠자리로 들어가서 잠을 청하십시오. - 5) 2)-4)의 과정을 반복하십시오. - 6) 기상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십시오. - 7) 잠자리는 잠을 자는 용도로만 사용하십시오. - 8) 낮잠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 졸린다면 30분 이내로만 주무십시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평소의 스트레스, 기타 걱정거리들이 많아서 깊은 수면을 취하시지 못하는 것같습니다. - 스트레스 해소와 규칙적인 운동으로 적당한 피로감은 숙면의 취하게 해줍니다. -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의 테크닉 - 수면이 안좋아지는데에는 정신적 컨디션의 이유가 큽니다. - 정신적 컨디션이 안좋아지는데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 우울증, 공항, 오늘 하루에 대한 불만족,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 이러한 정신적 컨디션을 관리를 하셔야합니다. - 또한, 음식조절도 하셔야하는데, 자극적인 음식이나, 커피등을 많이 드시면 안됩니다. - 또한, - 낮에 충분한 햇빛을 받으셔야합니다. - 이러한 방법에도 수면에 장애를 겪으시면 - 병원에 내원하시거나 수면유도제나 수면제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장애는 불면증, 수면관련 호흡장애, 과다수면증 등 여러 수면과 관련된 질병을 통칭합니다. - 보통 수면에 문제가 있다면 다음 세가지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1. 불면증 - 2. 수면 중 이상한 움직임, 행동 또는 느낌 - 3. 주간과다졸림증 - 이러한 증상을 개선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 낮잠을 피한다 - -잠자리에 누워 있는 시간을 일정하게 한다 - -잠자리에 들기 약 2시간 전에 더운물로 목욕을 한다 - -주말이나 휴일에도 일어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한다. - -수면을 방해하는 물질, 즉 담배, 커피, 홍차, 콜라, 술 등을 피한다 - -밤에 일어나더라도 시계를 보지 않는다 - 보통 이중에서 불면증이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보통 사람들은 일시적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2주 이내에 회복되지만 그 이상 나타난다면 반드시 병원 방문 후 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보통 정신건강의학과나 수면 클리닉 방문하시면 됩니다 -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불면증으로 인해 고생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불면증은 잠들기 어렵거나 잠에서 자주 깨면서 양질의 수면을 취하지 못하여,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뜻합니다.
 수면제의 도움을 받으실 수도 있겠지만, 밑에 링크에서 수면위생을 확인해보시고 실천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7348&cid=63166&categoryId=51016
 이후에도 불면증이 지속되신다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수면제 처방 및 도움도 받으실 수 있으며, 전문의 감독하에 드신다면 내성이나 중독의 문제를 최소화 하시며 복용하실 수 있습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