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그래디언트 치킨팝
그래디언트 치킨팝24.04.11

파인애플을 먹고 나면 혀가 아픈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다른 과일들은 괜찮은데 유독 파인애플의 경우 먹고 나서 혀가 살짝 아리거나 아픈 느낌이 들더라고요.

파인애플 알러지가 있나 싶었는데 또 시럽이나 그와 관련된 제품에서는 별 다른 점은 없더라고요.

파인애플을 먹고 나서 혀가 아리거나 아픈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기형 전문가입니다.

    이유는 바로 파인애플에 함유된 효소 때문입니다. 이 효소는 산성을 띠고 있어 섭취 시 혀나 잇몸 등에 영향을 줘서 상처를 내게 됩니다. 바로 이 상처 때문에 살짝 아리거나 아픈 느낌이 드는 것 이죠.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파인애들의 효소 성분이 혀에 닿게 되면서 이로 인해 단백질로 구성된 혀를 자극하여 아린 느낌을 주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파인애플에는 소화를 돕는 효소인 브로멜린이 들어 있다고 합니다. 이 성분은 고기와 같은 단백질을 분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성분인데요.


    때로는 입안의 조직을 자극하여 질문자님처럼 혀가 아픈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파인애플을 먹은 후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하니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하네요.


    하지만, 통증의 정도는 개인마다 다르고 그 외에도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파인애플에는 단백질을 녹이는 효소가 들어있어 단백질로 이루어진 구강이나 소화기관등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옥살산이라고 하는 산성성분도 상처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파인애플은 산성과 효소인 브로멜린을 함유하고 있어 혀나 입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브로멜린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로, 파인애플을 먹은 후에 혀가 아픈 느낌을 주는 것은 이 효소가 혀의 조직을 자극하여 발생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파인애플에는 '브로멜린'이라는 단백질 분해 효소가 있는데, 이 효소가 혀와 구강 점막에 있는 단백질을 분해합니다. 그래서 파인애플을 많이 먹으면 통증이 생기는 것이죠!

    참고로 키위에는 '액티니딘'이란 효소가 있는데요, 위에서 설명드린 파인애플의 효소와 비슷한 작용을 해 단백질을 분해하기 때문에 많이 먹으면 입안이 아린 증상이 나타나곤 하죠.

    출처 : 식약지킴이 - 파인애플 먹으면 입이 아린 이유


  •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파인애플을 먹고 나서 혀가 아리거나 아픈 이유는 파인애플에 들어 있는 특정 효소 때문입니다. 파인애플에는 '브로멜라인'이라는 효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브로멜라인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파인애플을 먹을 때 입안의 단백질, 특히 혀와 입안의 점막에 있는 단백질을 분해하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혀가 아리거나 약간의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파인애플을 다량으로 섭취했을 때 입안이 아프거나 혀가 아리는 경험을 할 수 있지만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통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매우 민감한 사람의 경우 파인애플로 인한 입안의 자극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파인애플 섭취를 줄이거나 가공된 파인애플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렇게 맛있는 파인애플을 먹으면 혀가 아픈 이유는 무엇일까? 어떤 사람은 파인애플 알러지가 있어서 그런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정답은 위의 설명에 있다. 육류의 소화를 돕는 효소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 혀를 아프게 하는 효소의 이름은 "브로멜라인"이다.

    브로멜라인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즉, 파인애플을 먹으면 혀가 아픈 이유는 혀 표면의 단백질을 분해시키기 때문에 아픈 것이다. 통증이 심한 사람은 입이 심하게 헐어 피가 나는 사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