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강하고멋진남자
강하고멋진남자

갑자기 목돈이 생겼다면 현 상황에서 어디에 투자하는것이 좋을까요?

나이가 70대 후반인 지인께서 토지보상을 받으셔서 약12억원 정도 목돈이 생겼다고 하시는데요. 현 상황에서 어디에 투자하는것이 좋을지 고민하시는것 같아요. 아파트, 토지 매수, 금은 등 어디에 투자하는것이 가장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70대 후반에 12억 목돈이 생기면 이게 참 달콤하면서도 무겁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솔직히 이 나이대에는 공격적인 투자보다 안전성이 우선이라고 합니다. 아파트나 토지는 환금성이 떨어지고 변동성도 있어서 갑자기 돈이 필요할 때 곤란해질 수 있습니다. 금은 단기적으로는 안전자산이지만 가격이 들쭉날쭉해 마음이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은행 정기예금이나 채권형 상품처럼 안정적으로 현금흐름을 만들어주는 쪽이 더 적합해 보입니다. 일부는 생활자금으로 확보하고 나머지를 분산해두면 불안하지 않게 지낼 수 있습니다. 제 기준에서는 수익보다 안정에 초점을 두는 게 좋다고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갑자기 목돈이 생긴다면 어디에 투자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70대이기에 절대 어디에 투자하지 마시고

    예금, 적금 등 원금 보장이 되는 곳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70대의 나이는 12억원이라는 목돈의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익률이 아니라 안전성과 안정적인 현금흐름입니다.

    고령자는 언제든 의료비나 간병비 등 큰 지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자산 중 상당 부분을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형태로 보유해야 하므로 부동산의 큰 비중을 투자하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또한 복잡한 상품도 투자는 최소화해야합니다 왜냐하면 이때는 직관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토지 투자는 70대 후반에게는 가장 부적합한 선택입니다. 개발 가능성이 있는 토지는 이미 가격이 많이 상승했고, 개발 시기의 불확실성이 큽니다. 오히려 유동성자산인 은행정기예금이나 단기 국채형 펀드나 ETF 혹은 CMA등의 유동성자산에 40%가까이를 투자하고, 나머지 40~50%가까이도 국고채나 회사채 중심의 ETF나 펀드에 투자하는게 훨씬 좋습니다. 나머지 10~15% 정도를 월배당리츠나 월배당성장주 성격의 ETF등에 투자하는게 좋은 선택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70대이시면 그 금액이면 노후를 충분히 잘 보내실수있을것같은데 여유있는 상황이시라면 단기적금이나 이파트를 지방에 임대수익이 가능한 아파트를매입해서 안전하게 꾸려라시는게 좋으실듯합니다.코인,주식에.연관된 상품은 리스크가 따르니 직접투자는 안하시는게 좋구 하시고싶다면 펀드에 가입하시거나 하면 될듯합니다.무리하지 진행하지 않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