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한알쌍7214
한알쌍721423.04.08

조선시대 영어교육을 실시하였나요?

조미수호통상조약으로부터 영어교육 실시하였나요?

육영공원에서 수학, 영어교육 실시하였다고 티비 나왔어요.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을 맺은 다음 해, 방미사절단 ‘보빙사’ 일행은 통역과 함께 미국 순방길에 나섰고, 그들이 전해온 신문물에 감탄한 고종은 영어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절감했다고합니다.

    {오늘날 여러 나라의 국가 간 교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어학이다. 이를 위해 공립학교를 설립하여 젊고 총민한 사람을 선발하여 학습하게 한다.

    <육영공원 학칙> 중, ‘설립목적’}

    이로 인해 1886년 조선 최초의 근대식 공립교육기관인 ‘육영공원’이 설립되었습니다. 육영공원에서는 40여 명의 학생이 지리, 수학, 역사 등 모든 과목을 영어로 배웠고, 프리스턴대학, 다트머스대학 등 해외 명문대 출신의 원어민 교사를 채용해 철저히 회화 위주의 영어교육을 진행했다고합니다.

    단, 육영공원은 고급 양반 자제들을 대상으로 운영했다면, 비슷한 시기 서양 선교사들은 배제학당, 이화학당 등의 사립학교를 세워 신분의 높낮이와 성별에 구분을 두지 않고 영어교육을 실시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어교육을 실시하기는 하였으나 실제로 교육을 받은 사람은 매우 극소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883년(고종 20년) 청나라의 영어 교육기관인 동문관을 본뜬 동문학이 설립됐다.

    이때 초빙된 교수가 영국인인 T E 핼리팩스와, 중국인 오중현·당소의다.

    동문학은 ‘영어로 쓰고 말하는’(敎以英文英語), 즉 일종의 영어몰입식교육을 채택했다.

    [출처] 77. 조선시대 영어 교육|작성자 배쨩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06년에 제정된 <외국어학교령>과 동시행규칙에 따라 종전의 개별 외국어학교를 관립 한성외국어학교로 통합하여 1904년에 폐지된 아어학교 외의 외국어학교를 한 곳에 모아

    계속 영어·일어·불어·독어·한어 등을

    교육하였다. 이들 5개 외국어학교의

    수업연한은 3년이었으며, 12세 이상의 남자를 입학시켜 해당 외국어와 일반교과를 가르쳤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이 영어에 눈을 돌린 것은 서구열강 중 최초로 미국과 통상조약을 맺은 1882년 무렵이며 당시 영어를 할줄 아는 조선인은 없었습니다.

    고종이 영어교육기관을 설립하기로 하고 1883년 청나라의 영어교육기관은 동문관을 본뜬 동문학이 설립되었고 그 후 청나라의 내정간섭에 불만을 갖게 된 고종과 반청세력은 청의 영향을 받은 동문학을 대체할 새로운 영어학교 설립을 추진합니다.

    1886년 9월 설립된 왕립육영공원이 입니다.

    육영공원은 1883년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온 사절단 일행이 현대식 영어교육기관의 설치를 건의함에따라 설립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조미수호 통상 조약을 통해 영어 교육을 받은 사례는 없습니다. 조미수호 통상 조약은 1882년에 체결되었으며, 이후로 조선과 미국은 외교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조선에서는 서구 언어 교육이 국가적으로 추진되지 않았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서적과 공문서 등에서 중국어를 사용하였으며, 서양 문명에 대한 관심은 있었지만, 서양 언어 교육은 일부 교육자와 선교사 등 소수의 한국인들이 개인적으로 배우는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영어 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조선인들은 서구 문명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얻기 위해 일본 등 타국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